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北도 소음 멈췄다…주민들 “환영”
채널A News
팔로우
2025. 6. 12.
[앵커]
어제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로 우리 군이 1년 만에 대북확성기 방송을 중단했죠.
하루만에 북한도 대남확성기 방송을 멈춘 상태라고 하는데요,
자세한 상황 들어보겠습니다.
장하얀 기자, 접경지역 상황 전해주시죠.
[기사내용]
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이 오늘 오전 별도의 대남 확성기 방송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앞서 어제 오후 9시부터는 강화군 접경지역에서 기존에 송출하던 소음방송이 잔잔한 음악소리로 대체되기도 했는데요,
어제 오후 2시 우리 군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한지 약 7시간 만의 일입니다.
그동안 북한은 쇠를 깎는 듯한 소리나 귀신소리 등 기괴한 소음을 내보내 남측 접경지역 주민들이 고통을 겪어 왔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오늘 오전 합참은 "북한의 대남 소음 방송이 청취된 지역은 없다"며 "북한의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북한의 대남 소음방송은 지역별로 방송 내용과 운용 시간대가 달랐다"면서 "서부전선에서 어제 늦은 밤 마지막으로 대남방송이 청취되었고, 이후로는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군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도 우리처럼 확성기 자체를 철거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 됐습니다.
지난해 6월 9일 윤석열 정부는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한 대응 조치로 6년 만에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바 있습니다.
이에 북한도 맞대응을 하면서 접경지 일대에서는 남북간 확성기 공방전이 이어졌고, 인근 주민들이 잠을 설치는 등 불편을 겪어왔습니다.
남한에 이어 북한도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자 해당지역 주민들은 환영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통일부 관계자는 오늘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고 상호 신뢰 회복의 의미 있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북한은 남한의 통화 시도에 대해 여전히 응답하지 않고 있어 남북 간 대화 채널은 여전히 단절된 상태입니다.
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
영상편집: 이희정
장하얀 기자 jwhite@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트랜스크립트
동영상 트랜스크립트 전체 보기
00:00
뉴스 1라이브 오늘 첫 소식입니다.
00:03
어제 이재명 대통령의 지시로 우리 군이 1년 만에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했습니다.
00:10
하루 만에 북한도 대남 확성 방송을 멈춘 상태입니다.
00:16
자세한 상황을 취재기자 연결해서 들어보겠습니다.
00:19
장하얀 기자, 접경지역 지금 상황 어떻습니까?
00:22
네, 합동참모본부에 따르면 북한이 오늘 오전 별도의 대남 확성기 방송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00:30
앞서 어제 오후 9시부터는 강화군 접경지역에서 기존에 송출하던 소음 방송이 잔잔한 음악소리로 대체되기도 했는데요.
00:39
어제 오후 2시 우리 군이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한 지 약 7시간 만에 이릅니다.
00:44
그동안 북한은 쇠를 깎는 듯한 소리나 귀신소리 등 기괴한 소음을 내보내 남측 접경지역 주민들이 고통을 겪어왔습니다.
00:53
이 같은 상황에 대해 오늘 오전 합참은 북한의 대남 소음 방송이 청취된 지역이 없다며 북한의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01:03
또 북한의 대남 소음 방송은 지역별로 방송 내용과 운용 시간대가 달랐다면서
01:08
서부전선에서 어제 늦은 밤 마지막으로 대남 방송이 청취됐고 이후로는 없었다고 덧붙였습니다.
01:16
다만 군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도 우리처럼 확성기 자체를 철거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01:22
지난해 6월 9일 윤석열 정부는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에 대한 대응 조치로 6년 만에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바 있습니다.
01:31
이에 북한도 맞대응을 하면서 접경지 일대에서는 남북 간 확성기 공방전이 이어졌고 인근 주민들이 잠을 설치는 등 불편을 겪어왔습니다.
01:40
남한에 이어 북한도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자 해당 지역 주민들은 환영하는 분위기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01:48
이에 통일부 관계자는 오늘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완화되고 상호 신뢰 회복에 의미 있는 계기가 된 것으로 평가한다고 밝혔습니다.
01:56
다만 북한은 남한의 통화 시도에 대해 여전히 응답하지 않고 있어 남북 간 대화 단절은 남북 간 대화 채널은 여전히 단절된 상태입니다.
02:06
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
02:07
채널A 뉴스 장하얀입니다.
추천
1:35
|
다음 순서
[여랑야랑]김문수, 수해 현장서 “술 한잔”
채널A News
오늘
1:34
[여랑야랑]정은경 ‘아들과 함께 왔어요’
채널A News
오늘
0:22
[기업] 호반그룹, 호우 피해지역에 성금·구호품 5억 2천만 원 지원 / YTN
YTN news
오늘
2:12
대북 확성기 중지 하루 만에 호응…北도 껐다
채널A News
2025. 6. 12.
1:01
"이제야 두 발 뻗고 잔다"…'소음 지옥' 접경지 주민들 일제히 환호
중앙일보
2025. 6. 11.
2:26
대북 확성기 방송, 1년 만에 전면 중지
채널A News
2025. 6. 11.
1:41
북한도 대남 소음방송 중지...군 "오늘 청취 지역 없어" / YTN
YTN news
2025. 6. 12.
2:05
북한 대남 소음방송 중지...군 "오늘 청취 지역 없어" / YTN
YTN news
2025. 6. 12.
1:46
새벽부터 ‘귀신 소리’…고통받는 접경지 주민들
채널A News
2024. 9. 17.
1:49
군, 대북 확성기 방송 오늘 오후부터 중지...재개 1년만 / YTN
YTN news
2025. 6. 11.
2:20
6년 만에 대북 확성기 재개...北 향해 BTS 노래 울렸다 / YTN
YTN news
2024. 6. 9.
2:28
"제발 살려달라"...괴이한 北 방송에 주민들 "정신병 걸릴 지경" [지금이뉴스] / YTN
YTN news
2024. 10. 21.
1:54
북한도 대남 소음방송 중지..."청취 지역 없어" / YTN
YTN news
2025. 6. 12.
1:45
[자막뉴스] 北 대남 방송 중단 확인...'신뢰 회복' 첫 단추 꿰나? / YTN
YTN news
2025. 6. 12.
2:09
[단독]北 대남확성기, 南보다 3대 많아…방송 시간 두 배 늘렸다
채널A News
2024. 10. 7.
2:09
남북 도로 폭파에 접경지 주민 불안 / YTN
YTN news
2024. 10. 15.
2:39
접경지에 간간이 총소리...주민 "포성도 커져" / YTN
YTN news
2024. 10. 15.
1:51
[자막뉴스] 이재명 정부의 대북 유화책...국정원도 중단 / YTN
YTN news
그저께
1:43
[단독] 북한, 서부전선 새 철책 완성...대남 확성기도 포착 / YTN
YTN news
2024. 9. 27.
1:48
북, 서부전선 새 철책 완성...대남 확성기도 포착 / YTN
YTN news
2024. 9. 27.
1:43
이 대통령, 대북 확성기 방송 중단 지시...북 호응 주목 / YTN
YTN news
2025. 6. 11.
2:47
접경지에 긴장감...주민 "포성도 커져" / YTN
YTN news
2024. 10. 15.
21:44
[이슈플러스] 군 "대북 확성기 오늘 가동 없어"...北 "새로운 대응" 위협 / YTN
YTN news
2024. 6. 10.
1:51
이 대통령, 대북 확성기 방송 중지 지시..."남북 신뢰 회복 물꼬" / YTN
YTN news
2025. 6. 11.
3:30
태영호 "대북 확성기, 가장 유력한 무기…北 5시간만에 꼬리 내려"
중앙일보
2024. 6.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