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본문으로 건너뛰기푸터로 건너뛰기
  • 2025. 5. 16.


"비만도 유전이 되나요?!
ㄴ넵"
우리 몸에 존재하는 비만 유전자의 모든 것!

#아이엠닥터 #오정연 #이한위 #김지선

베테랑 건강 박사들이 들려주는
실화 바탕 특강쇼&특급 솔루션!
[아이엠닥터] 매주 토요일 오전 8시 방송

카테고리

📺
TV
트랜스크립트
00:00이어서 이제 환자분들이 많이 하는 질문이 또 있는데요 바로 비만도 유전이 되나요? 유전인 거 같은 같아요 애기인데 아직까지 그렇게 이렇게 살이 이렇게 좀 통통한 친구들 보면 확실히 부모님이 좀 이렇게 체격이 있으시더라고요 포동포동하고
00:21특히 돌사진이나 이렇게 어렸을 때 사진 보면 지혜비 똥 닮았다 지혜비도 이렇게 통통했거든 이런 거 보면은 똑같이 이렇게 이렇게 엄마 아빠 모양처럼 이렇게 변해가는 건 아닐까 저는 유전이 될 거 같아요
00:35어느 정도 있는 것 같은 게 왜냐하면 좀 전에 사연자분 아이들도 어머니처럼 비만이 금방 됐다고 그랬잖아요
00:42그런 문제보다는 유전보다는 환경적 요인이 더 크지 않을까 아까 전념병이라고 하신 것도 같이 생활하니까 전념이 되는 거 아닙니까?
00:51같은 생활 패턴으로
00:53비만도 유전이 되나요?
00:55정답은 5입니다
00:59사과드렸습니다
01:01제가 감사합니다
01:03물론 환경적인 요인도 크지만 유전적 요인도 크다고 볼 수 있거든요
01:09면맛 연구에서는 유전적인 요인이 약 30%에서 80% 정도 체중 변화에 영향을 준다고 밝혔는데요
01:18그 이유가 우리 몸속에는 비만 유전자가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01:24대표적으로는 식욕과 관련된 FTO 유전자 그리고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MC4R 유전자 같은
01:32이 비만 유전자가 아이들에게 되물림될 경우 체중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거든요
01:40실제로 이스라엘 테라비브 의대 연구에 따르면 비만 부모의 자손은 정상 체중 부모 대비 비만 될 환경입니다
01:46실제로 이스라엘 테라비브 의대 연구에 따르면 비만 부모의 자손은 정상 체중 부모 대비 비만 될 확률이 약 77% 정도 증가한다는 걸 밝혔다고 합니다
02:14그렇군요 그러면 혹시 비만 유전자를 내가 타고났다 그러면 비만을 극복하기는 좀 어려운가요?
02:22유전자가 비만에 영향을 줄 수는 있지만 100% 결정짓는 것은 아닙니다
02:28네 다행이네요
02:30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그리고 수면 습관 환경 요인으로 유전적인 소인을 충분히 극복할 수 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02:40다행입니다
02:42그렇다면 우리 가족 모두에게 전염병처럼 퍼지고 있는 비만에서 탈출할 수 있게
02:48방법이 있다면 제발 좀 알려주세요
02:50선생님
02:51비만을 관리하는 데는 크게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02:55첫째는 식단 구성을 조절하는 식이요법
02:58그리고 약물 또는 수술요법인데요
03:02약물이나 수술요법은 부작용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시고요
03:06그리고 또 식이요법으로 얻는 체중 감량 효과의 경우
03:10단기간에 그치거나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체중이 늘어나는 요요현상이 나타나기도 하거든요
03:17그럼 도대체 왜 요요현상이 일어나느냐
03:20네 네
03:21그것은 이제 우리 몸이 비만했던 시절을 기억하기 때문입니다
03:26수잘데기 없는 기억을 하고 있다는 거네요
03:29수잘데기?
03:30딱 표현 좋았어요
03:32정말 수잘데기 없는 걸 기억을 하네
03:34따뜻한 감정이 실릴 수밖에 없어요
03:36아 그러네
03:37실제로 이 한 연구에 따르면 체중 감량에 성공한 사람들의 80% 이상이
03:451년 이내에 다시 체중이 증가됐고
03:482년 후에는 85%
03:513년 후에는 95% 이상이 체중을 회복한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03:57통장이 회복을 한다고 감사한데
03:59몸이 뭐 그까이 걸 회복해
04:01물심양면의 고통이네
04:03물심양면의 정신적인 고통과
04:05그런데 이 요요현상을 절대로 방치해서 안 되는 이유가
04:11
04:13비만을 기억하는 우리 몸은
04:15각종 질병에 노출될 위험이 크기 때문인데요
04:18
04:19이 사연 속 아내분 그리고 아내분의 부모님들까지 겪었던 고혈압
04:24고혈압 당뇨는 물론이고요
04:26심각한 경우 사망 위험도도 높이는데요
04:30실제로 한 연구에서 체중 변동이 심할수록
04:34심근경색 발병 위험이 117%
04:40뇌졸증은 136%
04:42그리고 사망 위험은 124%까지 증가했다고 합니다
04:46맞아요
04:47아까 전에 사연 속 아내분도 당뇨 고혈압 다 겪으셨잖아요
04:51그래서 식사량도 줄이고 탄수화물도 일절 안 먹고 하셨는데
04:56결국은 남편 몰래 치킨 피자 이런 거를 시켜주셔서
05:00아유
05:01몰라
05:02바로 그게 문제였던 겁니다
05:04탄수화물을 완전히 끄는 것이 오히려 시계 폭탄을 부른 건데요
05:09탄수화물을 과도하게 섭취하면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고 남은 포도당이 중성지방 형태로 전환이 되고
05:19내장지방으로 축적되어 복구 비만을 유발하기 때문에
05:23다이어트를 위해서 탄수화물을 적당량 섭취하는 게 중요한데요
05:29하지만 이상하게 나이가 들수록 흰쌀밥이 맛있어지고
05:34젊었을 때는 먹지 않았던 달달한 간식이 자꾸 당기시는 분들 있으시죠?
05:38있어요 있어요 저요
05:40아니 근데 진짜로 예전에 나 그렇게 빵 많이 안 먹었거든요
05:44그런데 그렇게 빵이 맛있고 밥을 먹잖아요
05:48밥에서 단물이 그렇게 나오고
05:50쓴 나물을 먹는데 쓴 나물도 달아
05:54진짜 이제 저도
05:56이제 철 드셨네
05:57밥맛을 알고
05:58나물맛을 느낀다면 철 드신 거예요
06:01너무 맛있어 탄수화물이
06:03아니 빵이면 그래도 괜찮은 것 같은데
06:05저 편의점에 있는 과자를
06:07그냥 하나 둘 다 정복해보고 싶은 마음이
06:10계속
06:11종류별로 다 먹게 되고 미치겠어요
06:15왜 그럴까요?
06:17다 이유가 있습니다
06:19노화로 인해서 에너지 대사가 감소하면
06:21피로감이 증가하면서
06:23즉각적인 에너지원이 될 수 있는
06:25단순당을 찾게 되기 때문인데요
06:27그런데 이제 우리 몸에서 가장 쉽게 포도당으로 전환돼서
06:33즉각적으로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 바로 탄수화물입니다
06:37
06:39뿐만 아니라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06:41쾌락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06:43도파민도 분비되어 기분도 좋아지게 되는데요
06:45문제는 이런 자극에 익숙해지면
06:49더욱, 자주, 그리고 더 많은 양의
06:53탄수화물을 갈망하게 된다는 것이죠
06:55이것을 이른바
06:57탄수화물 중독이라고 부릅니다
07:00아니 근데
07:01지금 밥도 너무 맛있어 보이고
07:03이게
07:04밥 보지마자
07:05웃음이 확
07:06미숨은 확 지워져
07:07그냥 너무 좋아
07:08근데 이게 내 몸이
07:10탄수화물을 갈망하고 있었다는
07:12증거였네요
07:14위험하게 탄수화물 중독으로까지 가지 않으려면
07:18줄이는 게 맞지 않아요?
07:20그렇죠
07:21그런데 각종 장기의 영양소로 활용되는
07:24필수 영양소인 탄수화물을
07:26극단적으로 줄이게 되는 것도
07:28아주 위험해져요
07:29아 그래요?
07:30만약에 탄수화물의 섭취가
07:32갑자기 제한이 되면
07:34체력과 집중력이
07:36급속도로 떨어집니다
07:39그리고 탄수화물을
07:41극도로 제한하면
07:42식탐이 더욱 커지면서
07:44다음날 정제 탄수화물이
07:46듬뿍 들어간 음식을 먹으며
07:48폭식할 가능성도 더 커지게 돼요
07:50결국 식욕 조절이 안 되면서
07:53다이어트에 실패하고
07:54다시 살이 찌는 요요가 오는 겁니다
07:57즉, 비만과 요요라는
07:59악순환의 고리에 빠지게 되는 거죠
08:01그러니까 결국은 이제
08:02무작정 줄이는 것만이
08:04해답은 아니다
08:05뭐 이런 말씀을 하신 것 같은데
08:06그러면은
08:07과연
08:08하루에 탄수화물은
08:09어느 정도를 먹어야 됩니까?
08:11궁금하다
08:12하루 필요 탄수화물 섭취량은
08:15130g 정도인데요
08:17그런데 이 한국인의 하루 평균
08:21탄수화물 섭취량은요
08:23266.53g입니다
08:262배 이상이네
08:271회 기준으로 계산하면요
08:29연간 총 섭취량은
08:31약 97.3kg에 달한다고 합니다
08:34어머
08:36그러니까 우리가 많이 먹고 있는 거죠
08:38탄수화물을
08:39그렇죠 어마어마하죠
08:40그런데
08:41탄수화물이 안 들어간 음식 찾기가
08:43쉽지가 않아요
08:44진짜 어려워요
08:45왜 어떻게 안 먹고 살아요 우리가
08:47그리고 또 너무 줄여서 먹어도 안 되고
08:50많이 먹어서도 안 되고
08:51참 쉽지가 않네요
08:53그래서 이 탄수화물이 비교적 적거나
08:56건강한 탄수화물을 섭취하는 것을 권장하는데요
08:59건강한 탄수화물로 대표적인 것이 바로 연근, 고구마, 콩, 잡곡 등과 같은 음식입니다
09:07이런 건강한 탄수화물로 하루 권장량을 채우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09:12이왕 먹을 거면 좀 더 건강한 탄수화물을 먹으려는 거네요
09:18잘 기억하겠습니다
09:20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