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이어로 건너뛰기
본문으로 건너뛰기
푸터로 건너뛰기
검색
로그인
전체 화면으로 보기
좋아요
댓글
북마크
공유
재생 목록에 추가
신고
[아는기자]尹 퇴진 방식, 유형별 정리
채널A News
팔로우
2024. 12. 9.
[앵커]
아는기자, 정치부 이세진 기자 나와 있습니다.
Q1. 이 기자, 좀 헷갈립니다. 윤 대통령 직무배제, 된 겁니까?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법적으로는 대통령의 직무는 정지된 상태라고 볼 수 없습니다.
하나씩 설명해볼게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퇴진 시까지 대통령은 사실상 직무 배제될 것이다" '군 통수권도 포함되느냐'는 질문에 "마찬가지"라고 답했었거든요.
여기에 야권은 명백한 위헌 이라고 받아쳤죠.
오늘 국방부가 정리했습니다. "현재 군 통수권은 법적으로 대통령에게 있다" 이렇게요.
Q2. 그럼 한 대표가 잘못 말 한 건가요?
한 대표 측 이야기 들어보니까요.
"법적으로 따지면 해법이 안 나온다"면서 "정치적인 의미의 권한 위임으로 해석해 달라"고 하더라고요.
실질적인 의사결정은 당과 총리가 협의해서 할 테니, 대통령은 최종 사인만 하는 역할에 머물러라, 이런 거죠.
제가 헌법도 살펴봤는데요.
대통령이 궐위 또는 사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총리가 권한을 대행한다고 명시돼 있거든요.
대다수 헌법학자들도 지금 상태가 궐위나 사고가 아니라고 합니다.
대통령이 '일임한다'고 밝혔다고 직무가 정지되는 게 아니란 거죠.
Q3. 오늘 국민의힘 의원총회는 결론이 뭡니까?
이번 주 토요일 두 번째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 전에 퇴진 로드맵 낸다는 겁니다.
윤 대통령 임기는 무조건 줄이는 건데, '질서있는 퇴진'을 위한 방식을 정하겠다는 겁니다.
오늘 의원들 의견, 퇴진 시점부터 방법까지 정말 제각각이었다고 해요.
당장 "한 달 내 하야해야 된다"는 의견부터요, 3~4월 중 "벚꽃 대선" 이야기도 나오고요.
"여름은 넘겨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Q4. 그렇군요. 퇴진시점이 제일 빨라지는 건 하야일 텐데요.
퇴진 방식, 유형별로 정리를 해볼게요.
대통령이 하야한다, 그러면 60일 이내에 대통령선거를 하게 돼 있습니다.
당장 한다고 가정하면 2월 초 대선이 되는 거죠.
이건 여권으로서 가장 피하고 싶은 선택지입니다.
계엄사태로부터 대선이 빠르면 빠를수록, 야권, 이재명 대표에 유리할 게 뻔하기 때문이죠.
다음은 탄핵입니다.
탄핵안이 헌법재판소로 넘어가는데, 박근혜 전 대통령 사례 보면 선고까지 3개월, 대선까지 2달, 총 5달 걸렸습니다.
시간은 좀 더 벌 수 있지만, 한동훈 대표 "국정 혼란에 불확실성이 크다"고 했죠.
Q5. 하야 아니면 탄핵뿐인가요?
여권에서 대안으로 거론되는 게 임기단축 개헌입니다.
윤 대통령 임기는 확 줄이되, 그 사이 개헌안을 처리하면서 현 대통령 임기도 끝내자는 겁니다.
개헌안이 발의되면 60일 안에 국회에서 통과시키고 한 달 안에 국민 투표를 해야 해요.
그런데 개헌은 투표가 문제가 아니라 야당 협조 없이는 불가능한 거여서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Q6. 개헌을 하고 퇴진 일자를 맞춘다, 대통령직 사퇴를 늦추려는 꼼수 아니냐고 하겠는데요?
그런 지적이 나올 수 있죠.
그래서 국민의힘 내부에서도 하야를 할 경우에는 퇴진 시점을 못 박고, 개헌을 선택하면 시한을 정해야 한다고 봅니다.
국민의힘,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 이재명 대표의 공직선거법 2심 판결까지는 나와야 한다는 겁니다.
지금 탄핵되거나 바로 하야할 경우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면죄부를 주게 된다고 보고 있거든요.
Q7. 이게 제일 중요해요. 그 퇴진 로드맵으로 탄핵 막을 수 있겠나요?
관건은 여론입니다.
오늘도 비공개 의원총회 취재해보니까 '탄핵 불가피하다' '14일엔 투표는 하자' 목소리도 나왔다고 하더라고요.
퇴진로드맵에 민심 호응이 없다면 무기명 투표했을 때 이탈표 나올지 아무도 알 수 없는 거죠.
또 하나 큰 변수, 검찰, 경찰, 공수처까지 경쟁적으로 진행되는 수사입니다.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은 물론이고 윤 대통령을 향한 수사도 속도가 빨라지고 있어서 대안 마련도 그만큼 빨라야 한다는 겁니다.
지금까지 아는기자 정치부 이세진 기자였습니다.
이세진 기자 jinlee@ichannela.com
카테고리
🗞
뉴스
추천
3:48
|
다음 순서
[아는기자]尹 최후변론 다음날 바로 대통령실 정책브리핑?
채널A News
2025. 2. 26.
5:35
[아는기자]“2~3월 퇴진” vs “탄핵”…두 갈래 길
채널A News
2024. 12. 10.
6:22
[아는기자]윤 대통령 29분 ‘기습 담화’ 핵심은?
채널A News
2024. 12. 12.
4:43
[아는기자]탄핵심판 변론기일,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채널A News
2025. 2. 1.
5:38
[아는기자]탄핵 인용 시 벚꽃 대선? 찜통 대선?
채널A News
2024. 12. 14.
4:33
[아는기자]헌재 10차 변론기일 변경 불허 이유는?
채널A News
2025. 2. 18.
4:27
[아는기자]격동의 4월…두 가지 경우의 수는?
채널A News
2025. 4. 1.
4:14
[아는기자]尹, 최후진술 내용은…대국민 사과 담길까?
채널A News
2025. 2. 25.
4:53
[아는기자]최상목, 버틸 수 있나?…여야 압박에 진퇴양난
채널A News
2025. 1. 1.
3:58
[아는기자]선고일 결정 늦어지는 이유는?
채널A News
2025. 3. 10.
2:06
[단독]“법대로 탄핵심판대 오르겠다”
채널A News
2024. 12. 10.
5:37
[아는기자]‘대통령 녹취’ 탄핵 사유되나?
채널A News
2024. 10. 31.
3:50
[아는기자]헌재 흔드는 이유는?
채널A News
2025. 2. 8.
5:36
[아는기자]한동훈의 압박…세 차례 변곡점?
채널A News
2024. 12. 7.
15:12
與 “탄핵 반대” 한목소리…尹 탈당엔 이견
채널A 뉴스TOP10
2024. 12. 5.
4:50
[아는기자]‘탄핵 그 이후’ 놓고 치열한 여야?
채널A News
2024. 12. 13.
3:55
[아는기자]“빨리” vs “충실히”…탄핵심판 전략은?
채널A News
2024. 12. 27.
5:58
[아는기자]윤-한, 40분 독대…먼저 보자고 한 대통령
채널A News
2024. 12. 6.
43:37
[뉴스NIGHT] '계엄 후폭풍' 계속...윤 대통령 출국금지 조치 / YTN
YTN news
2024. 12. 9.
4:12
[아는기자]헌재, 신속 판단?…탄핵 선고는 언제
채널A News
2025. 2. 10.
4:01
[아는기자]첫 ‘대통령 권한대행’ 탄핵 기각, 이유는?
채널A News
2025. 3. 24.
4:25
[아는기자]헌법재판소의 시간…탄핵심판 바로 시작되나?
채널A News
2024. 12. 14.
4:39
[아는기자]막판 변수 ‘홍장원’…탄핵심판 영향은?
채널A News
2025. 2. 13.
4:28
[아는기자]민주 “내란 진압이 우선”…4월 넘기면 큰일?
채널A News
2024. 12. 24.
20:39
2월이냐 3월이냐…국민의힘 ‘尹 하야 로드맵’ 검토
채널A 뉴스TOP10
2024. 12.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