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열폭주 화재 났다면…'냉각소화' 집중하고 초기진화 무리 말아야

  • 그저께
배터리 열폭주 화재 났다면…'냉각소화' 집중하고 초기진화 무리 말아야

[앵커]

경기 화성에서 발생한 배터리 공장 화재로 23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일이 있었는데요.

부산 소방이 비슷한 상황을 가정하고, 합동훈련을 진행했습니다.

어떤 점을 주목해야 할지 고휘훈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소방차 여러 대가 강한 물줄기를 뿜어냅니다.

노란색 차량은 고성능화학차와 배연차로 많은 양의 물을 뿜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 현장을 뒤덮고 있는 연기를 빼내고 송풍하는 역할도 합니다.

최근 경기 화성에서 발생한 리튬 배터리 공장 화재와 비슷한 상황을 부산의 한 2차전지 회사에서 구현했습니다.

한곳에 집중적으로 물을 뿜어내고 있는데, 이른바 '냉각소화'을 시연했습니다.

소방당국은 리튬 화재의 경우 '냉각'이 관건이라고 강조했습니다.

"1·2차 전지 화재가 났을 때 진화 방법은 동일합니다. 열폭주를 방지해야하기 때문에 대형화재 때는 지금까지 나와 있는 진압 방법으로 최대한 물을 많이 투입해서 냉각시켜서 열폭주가 되는 걸 차단하는 게…"

화재 시 초기 진화도 중요합니다.

리튬 제조공장의 경우 전용 특수소화기가 구비돼 있다면 초기 진화에 사용하고, 화재 규모가 작다면 수조를 만들어 불이 난 배터리를 담금니다.

마른 모래를 뿌려 '질식소화'를 유도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초기 진화가 어렵다면 무리하게 진압하지 말고 신속하게 대피하는 게 중요합니다.

"대피하면서 연소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안에 탈 수 있는 배터리를 최대한 들고 올 수 있으면 같이 반출하면서… "

부산소방본부는 다음 달 12일까지 부산지역 1·2차 전지 제조시설 37개 곳에 대해 화재 안전조사 및 교육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고휘훈입니다.

[영상촬영기자 : 이경규]

#열폭주 #배터리화재 #화성 #냉각소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