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계환·박정훈, 공수처 동시 출석…대질조사 가능성

  • 그저께
김계환·박정훈, 공수처 동시 출석…대질조사 가능성

[앵커]

'해병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피의자인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오늘(21일) 오전부터 조사를 받고 있습니다.

오후에는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도 출석했는데요.

이들의 대질조사 가능성도 나오는 상황입니다.

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보겠습니다.

홍석준 기자.

[기자]

네, 오늘 오전부터 김계환 해병대 사령관이 조사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조금 전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도 공수처에 출석했습니다.

김 사령관과 박 전 단장이 동시 출석하면서 대질조사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졌는데요.

김 사령관과 박 전 단장은 이른바 'VIP 격노설'의 핵심 관계자이기 때문입니다.

박 전 단장은 "김 사령관이 '윤 대통령이 격노한 것을 이종섭 전 장관에게 들었다'고 말해 '수사 외압'에 윗선이 있었다"고 주장하는 반면, 김 사령관은 "그런 발언을 한 적이 없다"는 입장입니다.

박 전 단장 측 변호인은 출석에 앞서 "김 사령관이 오늘 오전 조사에서 'VIP 격노설'에 대해 시인하지 않았을까"라고 말했는데요.

둘의 진술이 크게 엇갈리는 상황에서 공수처는 'VIP 격노설'의 진위를 놓고 집중 조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대질조사가 성사되면, 이들의 대면은 지난 2월 박 전 단장의 항명 혐의 군사재판 이후 110일 만인데요.

다만, 공수처가 박 전 단장에게 대질조사의 목적으로만 출석을 요구한 것이 아니어서 대질신문이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김 사령관은 지난 4일 15시간가량의 강도 높은 첫 조사를 받은 이후 17일 만에 재소환됐는데요.

앞서 김 사령관은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의 'VIP 격노' 주장은 거짓이라 보는지 등을 묻는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습니다.

공수처는 1차 조사에서 200쪽에 이르는 질문지를 다 묻지 못했는데요.

오늘 2차 조사에서는 150~200쪽 분량의 새로운 질문지를 준비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공수처는 오늘 김 사령관 소환에 앞서 어제 박경훈 전 국방부 조사본부장 직무대리를 다시 불러 조사했는데요.

김 사령관 재소환을 앞두고 수사 상황과 진술 내용을 정리·보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오늘 조사를 통해 'VIP 격노설'의 윤곽이 어느 정도 드러나게 되면, 공수처의 수사 범위는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이종섭 전 장관 등 윗선으로 확대될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지금까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서 연합뉴스TV 홍석준입니다. (joone@yna.co.kr)

#김계환 #해병_수사외압 #박정훈 #공수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