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라임] 결론 안 나는 의대 정원…혼란스러운 수험생

  • 2개월 전
[뉴스프라임] 결론 안 나는 의대 정원…혼란스러운 수험생


정부가 각 대학에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을 조정할 수 있도록 자율권을 주면서 올해 입시 판도가 다시 불투명해졌습니다.

이처럼 의대 정원에 또다시 변수가 생기자 수험생과 학부모들의 혼란이 커진 모습인데요.

이 시간, 입시 전문가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 나오셨습니다.

보통 대입 일정이 어떻게 되나요? 보통 이맘때쯤이면 지난 달 본 학력평가 결과와 작년도 입시 결과 등을 보고 어느 정도 자신에게 유리한 전형이나 지원 가능한 대학을 찾아 대략적인 전략을 세워 놓을 수도 있는 시기인가요?

정부가 지난주(19일) 2025학년도에 한해 대학이 자율적으로 증원 규모의 50에서 100% 사이에서 인원수를 정하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내놨습니다. 결론적으로 보면, 내년도 입시의 의대 증원 규모가 기존 2천 명에서 1천 명으로, 절반 수준까지 축소될 수도 있는 거죠?

의대 정원에 따라 합격선이 어떻게 달라집니까?

앞서 의대 정원 확대 소식에 대학생들과 젊은 직장인의 입시 문의가 쇄도하고, 현직 교사까지도 의대 입성을 노린다는 얘기도 나왔었는데요. 현장에서 직접 보신 바로는 어떻습니까?

그런데 지난달 학력평가에서 고3 학생 이과생 비율이 3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의대 열풍'으로 이과생 비율이 계속 증가한 것과는 대조적 현상인데, 어떻게 분석하세요?

교육부가 대학별 모집 정원 제출 기한이 이번달 30일임에는 변함이 없다고 못 박았습니다. 이번달에 의대 모집 인원 윤곽도 드러나면 혼선이 좀 잦아들 수 있을까요?

사실 의대 정원은 의대를 준비하는 수험생만의 문제가 아닌 것 같아요. 의대 정원 규모에 따라 이공계열 합격 점수도 달라져서 이공계 전체에 영향을 미친다고요?

한편, 내년도 대입에서 전국 간호대 입학정원도 1천명 늘어납니다. 자연계 중상위권 학생들에 영향을 미칠 주요 변수가 될 것이란 분석도 나오던데요?

아울러 무전공 선발 확대까지 겹쳐 지난해 입시자료도 활용하기 힘들어서 입시 전략을 짜기가 어려워졌다는 얘기도 나오던데 실제 현장에서는 어떻습니까?

지난해 수능은 킬러 문항이 빠졌지만 매우 어려운 불수능이었습니다. 킬러문항 배제 2년차인 2025학년도 난이도도 관심사일 텐데요. 어떻게 예상하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