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로 집단행동 확산…정부, 전공의 보호센터 설치

  • 3개월 전
교수로 집단행동 확산…정부, 전공의 보호센터 설치

[앵커]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지 3주가량 지났습니다.

그간 응급실 입원을 거부당하거나 수술을 잡지 못하는 환자들이 속출했는데요.

병원 현장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홍서현 기자, 정부는 지금 의료현장의 혼란을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기자]

네, 정부는 일부 환자 불편은 있지만, '의료 대란'이라는 표현은 과장됐다고 밝혔습니다.

응급실 입원 환자 가운데 증상이 상대적으로 가벼운 경우는 30% 가량 줄었는데요.

중증 응급 환자는 큰 변동 없이 유지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다음주 월요일부터 한 달간 병원 20곳에 각각 10명 내외의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를 파견할 예정입니다.

정작 병원에서는 전공의와 신규 인턴, 전임의에 이어 교수들로 집단행동이 번지고 있습니다.

서울아산병원 등이 소속된 울산의대 교수협의회 비대위는 어제(7일) 긴급총회를 열고 '자발적 사직'에 만장일치로 합의했습니다.

구체적인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지만, 비대위에서 교수들의 사직서를 취합할 예정입니다.

경북대와 가톨릭대 의대 학장단도 증원 규모가 감당하지 못할 수준이라며 보직 사퇴 의사를 밝혔습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는 내일(9일) 긴급총회를 열고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어떻게 대응할지 논의합니다.

[앵커]

최근 병원에 남은 전공의들을 색출하는, 이른바 '전공의 블랙리스트'가 의사 커뮤니티에 공개됐죠.

정부는 엄정 대응에 나섰다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해당 목록에는 병원별로 사직에 참여하지 않은 전공의, 소위 '참의사'가 몇 명인지 그대로 적혀 있었는데요.

글 아래에는 실명을 밝히며 "평생 박제해야 한다"는 댓글이 달렸습니다.

정부는 전공의가 돌아오지 못하도록 교사·방조한 행위 등 위법사항을 철저히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복귀한 전공의의 피해를 막기 위해 복지부에 신고센터를 설치할 예정인데요.

신고자의 신원을 철저히 보장하고, 원하는 경우 수련기관을 바꾸는 등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전공의 수련 제도 개선방안도 내놨는데요.

이번 달 안에 소아청소년과 전공의에게 매월 100만 원씩 수련비용을 지원합니다.

정부는 분만과 응급 등 다른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들로 범위를 확대해나가겠다며,

전공의 연속근무 36시간을 단축하는 방안도 신속히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서울대병원에서 연합뉴스TV 홍서현입니다. (hsseo@yna.co.kr)

[영상취재기자 김세완]

#의대정원 #전공의 #집단사직 #병원_이탈 #의료대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