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프라임] 바이든·트럼프 재대결 확정…'8개월 본선' 시작

  • 3개월 전
[뉴스프라임] 바이든·트럼프 재대결 확정…'8개월 본선' 시작


오는 11월 미국 대선은 바이든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 전현직 대통령의 4년 만에 리턴 매치가 됐습니다.

두 후보 모두 안고 있는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우선 과제로 꼽히는데요.

어떤 리스크가 있고, 또 대선판을 흔들 변수는 무엇이 있는지 짚어보겠습니다.

김진아 한국외대 교수 나오셨습니다.

헤일리 전 유엔 대사가 중도하차를 선언하면서 미국 공화당 대선 주자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확정했습니다. 민주당 경선도 진행 중이지만 바이든 대통령을 위협하는 후보가 없는 만큼 사실상 '리턴매치'가 성사됐는데요. 전현직 대통령이 맞붙는 게 112년 만이죠?

4년 만에 다시 열린 재대결인데요. 같은 후보가 두 번째로 맞붙는 대선 역시 68년 만의 진기록이라고 하고요. 또 누가 당선되든 역대 최고령 대통령이 됩니다. 이색 기록이 많은 대선으로 볼 수 있을 것 같은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슈퍼 화요일' 경선에서 압승했지만 여론조사보다 실제 득표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론조사에는 잡히지 않지만 실제론 그의 반대편에 투표하는 '샤이 반 트럼프' 표가 상당수 존재한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 어떻게 보세요?

'두 사람 모두 택하고 싶지 않다'는 의견이 많은 역대급 비호감 선거라는 것이 미국 언론의 평가입니다. 때문에 투표율이 저조할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데 동의하세요? 투표율이 낮다면 누가 유리할 걸로 보시는지도 궁금한데요.

본선행 티켓을 쥐게 된 트럼프 전 대통령, 바이든 대통령에게 토론을 제안했습니다. 공화당 대선 경선 TV토론에 참여하길 거부했지만, 바이든 대통령과의 토론엔 적극적인 이유가 뭘까요? 바이든 대통령이 과연 수락할 지는 의문입니다.

헤일리 전 대사의 지지층이 어디로 갈지도 관심인데요. 헤일리 전 대사가 트럼프 전 대통령을 향해 축하한다고는 했지만 지지 의사를 밝히진 않았거든요. 그럼에도 지지층은 트럼프 전 대통령을 향할까요?

바이든 대통령은 헤일리 전 대사와의 공통점을 부각하며 지지자들을 흡수하려는 모습인데요. 바이든 대통령에게로 갈 가능성도 있을까요?

11월 대선까지 240여일의 대장정이 조기 점화한 셈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사법리스크가 최대 변수로 꼽힙니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다음 달 2020년 대선 결과 뒤집기 시도에 대한 면책 특권 주장을 심리할 예정인데요. 대법원의 최종 판단, 어떻게 예상하세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사법리스크는 자금난으로도 이어지는데요. 수억 달러 벌금을 내야 하는 처지가 됐죠. 트럼프 전 대통령이 최근 일론 머스크를 만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일각에서 지원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일론 머스크는 선을 그었는데요. 재정적 위기가 선거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까요?

바이든 대통령은 고령 리스크가 최대 약점으로 꼽힙니다. 일각에서는 현지시간으로 7일 (한국시간 8일 오전 11시) 예정된 국정연설을 고령 논란을 불식시킬 기회로 보기도 하는데요? 어떤 메시지를 낼까요?

바이든 대통령에겐 이스라엘 전쟁 이후 급속히 이탈하고 있는 아랍계를 비롯한 유색인종과 진보, 젊은 층을 막는 것도 시급한 과제로 꼽히는데요. 어떻게 다시 표심을 모을 수 있을까요?

두 후보 개인의 자질 문제만큼 정책 이슈도 관심입니다. 이민 정책과 낙태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면서 두 후보가 어떻게 대응하느냐도 백악관 입성을 위한 변수로 꼽히는데요. 어떻게 보세요?

11월 미국 대선까지 아직 8개월이나 남아 있는데요. 어떤 부분을 보고 향후 대선 판도를 읽어 볼 수 있을까요? 관전포인트를 몇 가지 짚어 주신다면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