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사태 예·경보 3단계로 대피시간 확보…제2의 예천 사태 없도록

  • 5개월 전
산사태 예·경보 3단계로 대피시간 확보…제2의 예천 사태 없도록

[앵커]

지난 장마철에 발생했던 '극한 호우' 기억하실 겁니다.

특히 산사태 등 토사 재해가 심각했는데요.

미처 대피하지 못한 주민들의 인명피해를 막기 위해 정부가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윤솔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7월 집중호우와 함께 전국 각지에서 산사태가 속출했습니다.

특히 경북 지역의 피해가 컸는데, 물을 잔뜩 머금은 흙이 순식간에 휩쓸려 내려오면서 주민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런 상황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정부 방안이 나왔습니다.

인명피해와 직결되는 대피 시간 확보에 방점을 뒀습니다.

"대피 명령과 대피 시간 간에 지역별로 차이가 많이 있습니다. 30분 이하인 경우도 있고 혹은 서너시간 이후 몇 시간 이상인 여러가지 케이스가 있었습니다."

흙이 토양을 머금은 정도를 나타내는 '토양함수지수'에 따라 주의보가 발령되면 대피 준비를, 경보가 발령되면 대피를 시작하는데, 이 사이에 '예비경보'를 넣어 대피 시간을 1시간 정도 더 확보하겠다는 겁니다.

급경사면을 중심으로 감지센서를 보강하는 한편 대피조력자들의 역할을 키워 마을별로 매년 우기 대피 훈련을 실시하기로 했습니다.

부처별 정보를 공유하고 관리 체계 시스템도 새로 구축합니다.

"산림청에서만 산사태 관련 정보 시스템을, 행정안전부에서는 급경사지에 대한 시스템을, 국토부는 도로 비탈면에 대한 시스템을 갖고 있었습니다…위험정보공유시스템이라는 거는 각 부처가 관리하고 있는 3개 시스템을 통합해서 구축을 새로 하자는 겁니다."

다만 이번 대책에서는 토사로 인한 아파트 단지 옹벽 붕괴 사고 등은 조사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정부는 부처 통합으로 중점 추진 과제를 시행하면서 내년 2월까지 세부 이행 계획을 세울 예정입니다.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 (solemio@yna.co.kr)

#산사태 #대피 #경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