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형 재개' 여론 우위…응답자 넷 중 셋 찬성

  • 9개월 전
'사형 재개' 여론 우위…응답자 넷 중 셋 찬성

[앵커]

최근 정치권 현안들에 대한 여론을 알아봤습니다.

흉악범죄가 빈발한 탓인지 사형 집행 재개에 대해 찬성하는 여론이 압도적으로 많았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가 수산물 소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우려의 목소리가 더 크게 나왔습니다.

이다현 기자입니다.

[기자]

1997년 이후 약 26년간 중단된 사형 집행.

최근 흉악범죄가 연달아 발생한 데 이어 한동훈 법무부장관이 사형 집행 시설에 대해 점검을 지시하며 사형 집행 재개 문제가 화두로 떠올랐습니다.

"사형이 법에 있고, 정부는 사형제 존치를 주장하고 있지 않습니까. 그 시설을 유지하고 그리고 사형 확정자들의 수형 행태를 국민들께서 납득하실 수 있을 정도로 질서있게 유지하는 것은 법무부의 임무입니다."

사형 집행 재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물었습니다.

찬성이 74.3%로 압도적이었고, 반대는 22.6%에 그쳤습니다.

범죄 예방 등을 위해선 사형 집행을 통한 엄벌이 필요하다고 본 것으로 풀이됩니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이후 수산물 소비 의향도 물었습니다.

'이전과 비슷하게 먹겠다'고 한 사람의 비중은 31.1%.

'이전보다 덜 먹겠다'는 응답은 32.9%, '안전에 확신이 들 때까지 먹지 않겠다'는 응답은 32.4%로, 우려하는 분위기가 우세했습니다.

지지 정당별로도 살펴봤습니다.

이전과 비슷하게 먹을 것이란 응답은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확연하게 나타났고, 이전보다 덜 먹겠다거나 안전에 확신이 들 때까지 먹지 않겠다는 응답은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지지층에서 두드러졌습니다.

지난달 미국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의가 한반도 안보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긍정·부정 평가가 팽팽했습니다.

'한반도 안보에 도움이 될 것'이란 응답이 45.1%,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란 응답은 44.8%로, 오차 범위 내 접전이었습니다.

다만 정치 성향 별로는 입장이 엇갈렸습니다.

보수성향은 70.8%가 도움이 된다고 봤고, 진보성향은 68.3%가 도움이 안 된다고 봤습니다.

중도층 가운데는 부정 평가가 53.6%로 긍정 평가를 앞섰습니다.

연합뉴스TV 이다현입니다. (ok@yna.co.kr)

#여론조사 #사형집행 #흉악범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