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셋·유안타증권 압수수색…'라임' 재수사 속도

  • 10개월 전
미래에셋·유안타증권 압수수색…'라임' 재수사 속도

[앵커]

라임 펀드의 환매 특혜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검찰이 판매사 두 곳에 대한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

금융감독원이 추가 검사 결과를 발표한지 일주일 만인데요.

현장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알아보겠습니다.

한채희 기자.

[기자]

네. 서울남부지검 앞에 나와 있습니다.

검찰은 오늘(31일) 미래에셋증권과 유안타증권 본사에 수사관을 보내 지난 2019년 라임 펀드 판매 및 환매 관련 자료를 확보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이 라임자산운용 등에 대한 추가 검사 결과를 발표한 지 일주일만입니다.

이번 압수수색은 라임 펀드가 대규모 환매 중단 직전인 지난 2019년 8월부터 9월 사이, 유력 인사나 특정 기업에 자금을 돌려주는 특혜를 줬다는 의혹을 살펴보기 위해 진행됐습니다.

검찰 관계자는 연합뉴스TV와의 통화에서 "두 증권사 모두 참고인 자격으로 압수수색을 벌인 것"이라며 "제기된 모든 의혹을 신속하게 들여다보기 위해서"라고 밝혔습니다.

검찰은 확보한 자료를 토대로 증권사가 특정 투자자에게 환매를 권유하는 과정에서 위법 행위가 있었는지 살펴볼 계획입니다.

특히 미래에셋증권으로부터 특혜성 환매를 받은 의혹을 받는 김상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고려아연에 대한 자료를 집중 분석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앵커]

검찰이 본격적으로 재수사에 돌입한 것으로 보이는데, 앞으로 수사는 어떻게 진행될 지도 설명해 주시죠.

[기자]

네. 두 증권사 말고도 라임 펀드를 판매했던 증권사로 압수수색 대상이 확대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금감원도 미래에셋증권에 이어 NH투자증권에 대한 추가 검사에 나섰는데요.

금감원은 농협중앙회가 NH투자증권에서 투자한 200억 규모 라임 펀드를 환매받은 과정에서 위법 사항이 있었는지 살펴보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검찰은 오늘 확보한 자료 등을 분석해 운용사와 판매사뿐 아니라 수익자를 둘러싼 의혹도 들여다볼 계획입니다.

검찰 관계자는 그간 실무진 선에서 금감원과 관련 자료를 공유해왔다고 밝혔는데요.

대규모 환매 중단 사태를 사전에 알고 환매를 진행한 건지, 자체 자금으로 환매할 수 없어지자 다른 펀드를 돌려막아 진행해 준 점을 알고 있었는지, 이 과정에서 대가가 있었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알아보겠다는 겁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취임 당시부터 펀드 사기 재검사에 대한 의지를 밝힌 만큼, 검찰의 라임 펀드 재수사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서울남부지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1ch@yna.co.kr)

#서울남부지검 #라임펀드 #특혜성_환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