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보리, 북 위성발사 논의했지만…빈손 종료

  • 10개월 전
안보리, 북 위성발사 논의했지만…빈손 종료

[앵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북한의 군사 정찰위성 발사 문제를 논의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도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빈손으로 회의를 마쳤습니다.

문승욱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등의 요청으로 소집된 이번 회의에는 안보리 비이사국인 한국과 북한 대사도 이해당사국 자격으로 참석했습니다.

미국은 북한이 사실상 장거리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했다는 점에서 안보리 결의안을 위반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핵 개발의 당위성을 주장하는 북한을 '편집증'이라고 규정하며, 오는 10월 다시 발사를 예고한 점을 강도높게 비판했습니다.

북한 측은 발사 시도는 정당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는 이번에도 북한을 두둔하며 어깃장을 놓았습니다.

"미국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다른 나라를 비난만 하고 있습니다. 동북아 정세의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한 채 위선적으로 비난하고 있습니다."

황준국 유엔 대사는 지난달 북한이 핵 무력을 과시한 이른바 '전승절' 열병식에 중국과 러시아 고위급 인사들이 참석한 점을 들며 유감을 나타냈습니다.

앞서 G7 외무장관들은 안보리에서 일부 국가들의 방해로 북한의 무모한 도발이 반복되고 있다고 중국과 러시아를 비판했습니다.

"북한의 핵 위협이 점점 커지고 있지만 러시아와 중국은 국제 평화와 안보를 유지할 책임을 다하지 않고 있습니다. 두 국가는 계속해서 북한의 안보리 결의 위반을 축하하고 안보리가 취할 수 있는 조치를 막아서고 있습니다.

2017년 대북 제재 강화 결의안이 채택된 뒤, 유엔 안보리는 북한의 무력도발과 관련한 긴급회의를 이미 여러 차례 소집했습니다.

그때마다 중국과 러시아의 반대로 실효적인 대응에는 실패했는데, 이번 역시도 같은 이유로 대북 결의안이나 의장성명 같은 구체적인 결과는 만들어내지 못했습니다.

연합뉴스TV 문승욱입니다.

#유엔 #안보리 #북한 #성명 #위성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