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풍향계] '전경련 회장 추대' 류진…'인도 시장 점검' 정의선

  • 10개월 전
[CEO풍향계] '전경련 회장 추대' 류진…'인도 시장 점검' 정의선

[앵커]

한 주간 기업 최고경영자들 동향을 살펴보는 'CEO풍향계' 시간입니다.

이번 주에는 류진 풍산그룹 회장과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이야기를 김종력, 이은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기자]

류진 풍산그룹 회장.

한국경제인협회로 새 출발을 앞둔 전국경제인연합회의 차기 회장으로 추대됐습니다.

전경련은 연초 허창수 회장이 물러난 뒤 김병준 회장 대행이 이끌고 있는데요.

오는 22일 임시총회에서 간판을 한국경제인협회로 바꿔달고 새 회장으로 류 회장을 추대할 예정입니다.

재계에는 우려와 기대감이 교차하고 있죠.

풍산그룹이 재계순위 70위권이라 재계 대표 단체 수장을 맡기에는 중량감이 떨어지는 것 아니냐는 겁니다.

반면 '글로벌 마당발'로 불리는 류 회장의 인맥에 대한 기대감도 꽤 높습니다.

특히 안보와 지정학이 경제에 영향을 주는 시기인만큼 부시 전 대통령 일가와의 인연 등 '미국통'인 류 회장이 적임자란 평가도 있죠.

전경련은 "경험과 인맥이 풍부한 만큼 한국경제인협회가 글로벌 싱크탱크이자 중추 경제단체로 거듭나는 데 리더십을 발휘해 줄 것"이라며 류 회장에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거대 시장으로 급부상한 인도를 찾아 성장 전략을 직접 점검했습니다.

정 회장은 최근 현대차·기아의 인도 기술연구소와 현대자동차 인도 공장을 방문했습니다.

현지 임직원들과 인도 시장의 중장기 성장 전략도 논의했죠.

정 회장이 인도 방문은 4년 만인데요.

그 사이 인도는 세계 최대 인구 보유국이자 중국, 미국에 이은 3위 자동차 시장으로 떠올랐죠.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인도 시장에서 사상 최대인 80만7,000여대를 판매했습니다.

올해도 7월까지 판매량이 1년 전보다 8.8% 늘며 인도 시장에서 마루티 스즈키에 이어 2위로 자리 잡았는데요.

인도 정부가 2030년까지 전기차 판매 비중을 자동차 판매량 30%로 늘린다는 목표를 세운 만큼, 정 회장은 "인도 전기차 시장에서 선도 기업 입지를 구축해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김영섭 전 LG CNS 사장.

표류 중인 KT의 중심을 잡을 차기 대표이사로 내정됐습니다.

김 내정자는 오는 30일 임시 주주총회에서 60% 이상의 지지를 받으면 신임 대표로 정식 취임하게 되는데요.

이변이 없는 한 2026년 3월까지 KT를 이끌 것으로 보이죠.

김 내정자는 1984년 LG상사의 전신 럭키금성상사에 입사한 이후 LG유플러스, LG CNS 등을 거친 '38년 LG맨'입니다.

대표가 된다면 KT의 세 번째 외부 출신 대표가 됩니다.

김 내정자는 LG CNS 대표 시절 대대적인 조직 개편과 디지털 혁신 추진 등으로 회사 체질을 바꿨다는 평가를 받았는데요.

KT노조도 김 내정자가 전문성과 경영능력, 리더십을 갖췄다며 환영 입장을 내놨습니다.

KT가 약 9개월간의 경영공백 사태를 겪고 있는 만큼, 김 내정자 앞에는 많은 과제가 놓여 있는데요.

조직 정비와 인공지능 등 미래 사업 확장, 그리고 외풍에 흔들리지 않는 기업으로의 자리매김이 꼭 해결해야 할 숙제로 꼽힙니다.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11월 임기 만료를 앞두고 4연임 도전에 나서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1973년 고졸 행원으로 옛 한국외환은행에 입행한 윤 회장.

이후 일과 학업을 병행해 공인회계사와 행정고시에 합격한 입지전적인 인물인데요.

회계사의 길을 택한 그는 2002년 국민은행 부행장을 맡으며 KB와 인연을 맺었습니다.

그리고 2014년 내부 파벌간 갈등으로 그룹이 흔들릴 때 사태 수습 과제를 안고 KB금융그룹 회장에 올랐습니다.

내부 파벌에서 자유로웠던 윤 회장은 이후 강력한 카리스마로 KB금융을 빠르게 안정시켰고, 비은행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2017년 그룹 역사상 처음 3조원대 순이익을 달성하는 등 성과도 올렸습니다.

또 2021년과 2022년 KB금융이 2년 연속 4조원대 순이익을 기록하자 자연스럽게 윤 회장의 4연임 얘기도 나왔는데요.

하지만 그는 '박수칠 때 떠나'는 아름다운 용퇴를 택했습니다.

최근 7년간 금융권 횡령액이 1,800억원에 이르지만 환수율은 12.4%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죠.

철저한 관리 감독과 함께 CEO까지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는데요.

권한에는 그만한 책임이 따르는 게 당연합니다.

비단 금융권 CEO에게만 해당되는 얘기는 아닐 겁니다.

지금까지 CEO풍향계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