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혼집·육아…청년 결혼 산 넘어 산

  • 9개월 전
신혼집·육아…청년 결혼 산 넘어 산

[앵커]

지난해 4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가 2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죠.

이처럼 결혼 연령이 점점 늦어지는 추세인데, 결혼에 대한 청년들이 고민을 들어봤습니다.

최덕재 기자입니다.

[기자]

청년들의 입에서 가장 많이 터져 나온 고민은 집 문제였습니다.

직장과 가까운 곳에 신혼집 구하기도 하늘의 별 따기인데, 부부가 될 경우 대출 조건이 불리해지기도 해 결혼 후에도 법적으로 부부가 아닌 경우도 많습니다.

"1년이 지난 2022년 말에 혼인신고를 하게 됐습니다. 혼인신고를 놓친 이유는 제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비슷한 이유가 있을 텐데 보금자리론 대출 때문에 이렇게 진행을 하게 됐습니다."

어렵게 집을 구하고 결혼생활을 시작해도, 육아는 또 다른 산입니다.

경력이나 수입을 어느 정도 포기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을 못하고 급여도 나오지 않고 이런 상태로 육아를 할래?'라고 하면 당연히 어느 누구도 육아를 선택하지 않을 것입니다. 시간적인 보장이 안 되기 때문에…"

'청년들이 아이를 낳지 않는다'는 시선에 대해서도, 청년들은 할 말이 많습니다.

특히 결혼하지 않아도 아이를 낳아 기를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부부가 아닌 사람끼리도 결정해서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게 뭔가 해 주셨으면…"

전문가들은 결혼한 청년들에 대한 지원과 함께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결혼을 해서 낳은 아이와 결혼하지 않아서 낳은 아이에 대한 그런 인식이나 지원이 똑같이 이루어져야 되는데 우리나라는 그렇지가 않죠."

합계출산율 0.78의 초저출산 시대 극복을 위해서도 청년들의 결혼에 대한 고민을 줄여줄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이 필요해 보입니다.

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 (DJY@yna.co.kr)

#결혼 #청년 #집 #서울 #율아 #직장 #미혼모 #영아 #출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