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 달러 안전장치 마련…"한일 경제관계 정상화"

  • 작년
100억 달러 안전장치 마련…"한일 경제관계 정상화"

[앵커]

한일 재무장관회의에서 8년 만에 복원된 한일 통화 스와프는 불안정한 외환시장의 안전장치 마련이란 의의가 있습니다.

4년간의 무역 갈등 종료에 통화스와프가 더해지며 양국 간 경제관계도 정상화된 셈입니다.

이은정 기자입니다.

[기자]

8년 전과 같은 규모인 100억 달러 규모로 복원된 한일 통화스와프.

2001년 20억 달러로 시작해 2011년 한 때 700억 달러까지 늘었던 협정이 양국 관계가 얼어붙으며 2015년 끊겼다가 다시 체결된 겁니다.

통화스와프는 필요시, 원화를 상대국에 맡기고 달러나 해당국 통화를 빌려오는 비상 외환수급 방어장치인데, 이번 협정은 달러를 빌려오는 내용으로 체결됐습니다.

"한국의 국제 금융 시장은 크게 안정될 것이고, 환율 시장도 안정된다 이렇게 전망할 수 있습니다."

5월 말 기준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은 세계 9위인 4,209억8,000만 달러, 국내총생산 약 4분의 1에 해당합니다.

전반적 대외건전성 지표도 양호한 상황입니다.

통화스와프 자체의 시급성보다는 양국 간 갈등 종료의 상징적 의미가 강한 겁니다.

"지난 3월 한일정상회담 이후 빠르게 회복돼온 한일관계가 양국 재무 당국간 경제·금융분야까지 정상화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큰 성과라고…."

특히, 양국이 4년 만에 상대방을 수출우대국 명단에 다시 넣으면서, 무역, 금융 양면에서 관계 정상화가 본격화했다는 뜻으로도 풀이됩니다.

"과거엔 갈등 관계에 있었는데 이웃나라하고 경제 협력이 강화된다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경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들 조치와 함께 내년에는 한국에서 한일재무장관회의를 열기로 하는 등 '경제 셔틀외교'도 본격화할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 (ask@yna.co.kr)

#통화스와프 #한일재무장관회의 #외환시장안전장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