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법 거부권에 정국 냉각…국회 윤리특위 정상화 합의

  • 작년
간호법 거부권에 정국 냉각…국회 윤리특위 정상화 합의

[앵커]

윤석열 대통령이 간호법 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을 행사한 데 따른 여야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당연한 선택이라는 국민의힘과 공약 거부라는 더불어민주당 간 공방이 격화되고 있는데요.

국회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신현정 기자.

[기자]

네, 윤석열 대통령이 간호법 제정안에 대한 거부권 행사를 의결한 데 따른 여야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국민의힘은 거부권 행사는 "당연한 선택"이라며 애초 간호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관련 발언 들어보시죠.

"윤석열 대통령의 결단으로 국회는 재의 과정을 거치게 되었습니다. 이제라도 간호사 처우를 위한 대안을 마련하고, 의료시스템 복원을 위해 머리를 맞댄다면 의료현장의 혼란을 막을 수 있습니다."

민주당은 양곡관리법에 이은 윤석열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비판했습니다.

간호법 제정이 윤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다며 날을 세웠습니다.

관련 발언 들어보시겠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의 이번 간호법 거부권 행사는 겉으로만 의료체계를 위하는 위선이고, 공약을 이행하지 못하는 무능이고, 국회의 입법권을 무시하는 오만입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간호법 공약 파기는 민주주의에 대한 도전"이라며 사죄를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앵커]

신 기자, 코인 거래 의혹이 불거진 김남국 의원에 대한 징계 논의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습니까?

[기자]

네, 김남국 의원의 코인 의혹에 따른 여야 공방이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민주당은 당 차원의 조사는 계속 진행하기로 했지만 김 의원에게 요청한 자료를 제대로 받지 못했다고 밝혀 조사가 제대로 진행될지 미지수입니다.

국민의힘은 외부 전문가들을 포함한 '코인게이트 진상조사단'을 꾸리고 민주당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회 윤리특별위원장과 여야 간사는 내일(17일) 전체회의를 열고 양당 간사를 선임해 특위를 본격 가동합니다.

여당에서 의원직 사퇴까지 요구하는 데다 야당에서도 쇄신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윤리특위 차원의 징계 논의에 속도가 붙을지 주목됩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회의원 전수조사가 이뤄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는 가운데, 정의당은 국민권익위원회에 소속 의원 전원의 개인정보 제공 동의서를 제출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hyunspirit@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