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부진에 낮아진 경제성장률 전망…하반기도 불투명

  • 작년
반도체 부진에 낮아진 경제성장률 전망…하반기도 불투명

[앵커]

올해 경제 전망이 갈수록 비관적으로 되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성장률 전망치 하향을 예고한 데 이어 국책연구기관 한국개발연구원도 예상보다 나쁜 반도체 경기를 이유로 1.8%였던 전망치를 1.5%로 낮췄는데요.

나라 살림 적자도 더 커질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습니다.

이은정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개발연구원 KDI가 새로 전망한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은 1.5%.

2월 제시한 1.8%를 석 달 만에 내린 겁니다.

가장 큰 이유는 최대 수출 품목 반도체 중심의 수출 부진입니다.

15년 만에 최악인 반도체 경기가 하반기에 풀리지 않으면 경제성장률을 더 끌어내릴 수 있다고도 했습니다.

"지금 반도체 경기가 2001년도에 IT버블 붕괴, 2008년도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정도로 아주 심각하게 부진한 상황에…1.5%가 아니라 1% 초반 이 정도도 아마 충분히 안 좋은 시나리오에서는 가능하다…"

수출 부진과 경기 악화에 이미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가 1.6%, 국제통화기금 IMF가 1.5%로 나란히 0.2%p씩 낮추는 등 국제기구들의 전망치 하향은 이미 시작됐습니다.

1.6%를 제시한 정부와 한국은행도 조만간 낮출 전망입니다.

경기가 나빠지고 세금이 덜 걷히며 재정 악화도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실질적 재정 지표인 관리재정수지는 1분기 적자만 54조원, 이미 연간 적자 예상치에 가깝습니다.

그렇다고 재정 지출을 늘려 경기를 부양하자니 물가가 걱정입니다.

"내수와 고용 여건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상황임을 감안하여 경기 부양을 위한 재정지출 확대는 지양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 경제의 성장세 회복은 지금 반도체 경기와 중국 경제의 회복 속도 이 두 가지에 달려있습니다.

문제는 그 시기를 예상하기엔 불확실성이 너무 크다는 점입니다.

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 (ask@yna.co.kr)

#경제성장률 #반도체 #KDI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