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고물가에 '짠테크' 인기…오픈채팅 '거지방' 유행

  • 작년
[이슈+] 고물가에 '짠테크' 인기…오픈채팅 '거지방' 유행


고물가 현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소비문화가 바뀌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2030세대 사이에선 '짠테크'와 '무지출 챌린지'가 놀이 문화처럼 확산하고 있는데요.

그 배경은 무엇인지,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몇 년 전엔 한 번뿐인 인생을 제대로 즐기자는 의미의 '욜로족'이 유행을 했고요. 또 한동안은 소비를 과시하는 이른바 '플렉스'가 유행을 하지 않았습니까. 그런데 최근 이런 소비 현상들이 꺾였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왜 이런 분석들이 나오는 건가요?

특히 허세플레이션의 거품은 밥값에서부터 꺼지고 있습니다. 최근 편의점 점주들 사이에 '입고런'이라는 단어가 번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도시락 입고런이라는 건 어떤 현상을 말하는 건가요?

특히 코로나19 사태 이후 2030세대의 골프 인구가 급증했었는데요. 최근 골프 시장에서 2030세대의 이탈도 가속화되고 있다고 합니다. 이 현상은 어떻게 분석해 볼 수 있을까요?

또 이른바 허세플레이션이 가능했던 비결 중 하나는 '무이자 할부'였는데요. 대부분의 카드사가 무이자 할부 서비스 기간을 축소한 것 역시 지금의 현상을 이끄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보십니까?

이런 상황들을 함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는 게 바로 요즘 뜨고 있는 '거지방'이라는 오픈 대화방입니다. MZ세대 사이에서 '거지방'이라는 게 유행이라고 하던데요. 이게 뭔지부터 짚어주시죠.

그런데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거지방을 대하는 MZ세대의 마인드입니다. 과거의 절약은 짠순이, 자린고비라는 부정적인 의미도 있었습니다만, 요즘은 마냥 우울하지만은 않게 일종의 놀이 문화가 된 걸로 보여지는데요?

심지어 점심값을 줄이면서도 다이어트는 물론 환경 보호까지 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인식도 엿보입니다. 이런 긍정적인 인식의 배경은 무엇일까요?

또 최근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푼돈 재테크'에 나서는 앱테크도 유행이라고 하던데요. 앱테크로 커피값을 벌려는 소비문화엔 어떤 심리가 담겨있다고 보십니까?

하지만 모든 MZ세대가 경제적 취약층일 수는 없지만, 아무래도 경기가 나빠지면 그에 따른 고통을 가장 빨리 느끼게 되는 세대이기도 한데요. 이런 점에서 스스로 거지라고 칭하는 현상을 과연 좋게만 볼 것이냐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 점은 어떻게 보십니까?

#고물가 #짠테크 #오픈채팅 #거지방 #2030세대 #허세플레이션 #입고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