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일 북핵대표 "북 해외노동자 송환해야…핵개발 돈줄도 차단"

  • 작년
한미일 북핵대표 "북 해외노동자 송환해야…핵개발 돈줄도 차단"
[뉴스리뷰]

[앵커]

북한의 무력 도발이 이번 달에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한미일 북핵수석대표가 모여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3국은 공동성명을 내고 국제사회에 북한 해외 노동자들을 송환할 것을 촉구하고 북핵 개발에 쓰이는 자금줄 차단에 긴밀 공조키로했습니다.

신현정 기자입니다.

[기자]

김건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성김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 후나코시 다케히로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북핵 대응 방안을 논의하려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이번 달 북한 김일성 주석 생일, 한미 정상회담이 예정된 만큼 북한의 중대 도발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한미일 북핵수석대표 대면 협의는 지난해 12월 이후 넉달 만입니다.

이번 협의에선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처음 공동성명도 발표됐습니다.

성명은 북한이 "주민 어려움을 무시한 채 핵무기 사용을 시사하는 발언을 일삼고 있다"는 점에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북한은 핵무기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요술 지팡이인 양 주민들을 오도하고 있습니다."

3국 대표는 국제사회에 북한 해외 노동자들을 송환해달라고도 촉구했습니다.

북한이 해외 IT 인력을 통한 불법 사이버 활동으로 핵과 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 겁니다.

이를 위해 2017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결의한 북한 노동자에 대한 고용 허가 금지와 노동자 송환을 이행하라고 밝혔습니다.

실제 북한은 지난해 최대 17억 달러, 우리 돈으로 2조 2,400억 원이 넘는 가상화폐를 탈취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북한은 유엔이 금지한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전 세계 국가와 개인을 겨냥한 악의적인 사이버 공격으로 국제사회 전체의 안보와 번영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한미일은 북한이 핵개발을 단념토록 안보 협력을 강화해나가는 한편, 북한에 억류된 우리 국민의 석방을 위한 협의도 이어가기로 했습니다.

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 (hyunspirit@yna.co.kr)

#한미일 #핵개발 #해외노동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