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제주 4·3 추념식 참석…"희생자 애도"

  • 작년
정치권, 제주 4·3 추념식 참석…"희생자 애도"

[앵커]

제주 4·3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는 제75주년 4·3 추념식이 오늘 거행됐습니다.

정부에선 한덕수 국무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정치권 인사들도 자리를 함께 했는데요.

국회 연결해 자세히 들어봅니다.

최지숙 기자.

[기자]

네, 4·3 추념식이 오늘 오전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열렸습니다.

올해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후 처음 열린 행사로, 제주도민 1만 5천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4·3 희생자 추념일은 2014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됐는데요.

올해는 '제주 4·3, 견뎌 냈으니 75년, 딛고 섰노라'를 주제로 열렸습니다.

지난해 당선인 신분으로 추념식에 자리했던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행사에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대통령실은 앞서 "올해는 한덕수 국무총리가 참석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한 총리가 참석해 윤 대통령의 추념사를 대독했는데요.

윤 대통령은 추념사에서 희생자들의 안식을 기원하며 "정부는 희생자들과 유가족들의 명예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생존 희생자들의 고통과 아픔을 잊지 않고 보듬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무고한 희생자들의 넋을 국민과 함께 따뜻하게 보듬겠다는 저의 약속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국민의힘에선 김기현 대표와 주호영 원내대표가 부산 엑스포 유치와 관련해 국제박람회기구 실사단 맞이로 불참한 가운데, 박대출 정책위의장과 이철규 사무총장 등이 자리했습니다.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 정의당 이정미 대표도 추념식에 참석해 희생자들의 넋을 기렸는데요.

민주당은 이에 앞서 제주 4·3기념관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4·3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등 뒷받침을 약속했습니다.

여권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는데요.

이 대표는 "4·3 사건이 김일성 지시로 촉발됐다고 했던 여당 지도부는 사과조차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고, 박홍근 원내대표는 "여권은 총선을 목전에 둔 내년에나 얼굴을 비칠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앵커]

오늘 오후 국회에선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를 시작으로 대정부 질문을 시작하는데요.

이 소식도 전해주시죠.

[기자]

네, 국회는 오늘부터 사흘 간 대정부 질문을 이어갑니다.

첫날인 오늘은 대일 외교와 안보 문제 등을 놓고 공방이 예상됩니다.

앞서 강제징용 해법을 비롯한 정부의 대일 외교를 굴욕 외교라고 비판해왔던 민주당은, 한일 회담 관련 국정조사를 촉구하며 대여 공세에 나설 전망인데요.

국민의힘에선 미래지향적 협력 관계의 기틀을 다진 회담이었다고 성과를 부각하는 한편, 국정조사엔 재차 선을 그을 방침입니다.

야권은 정부를 상대로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수산물 수입 문제 등에 대한 입장과 대책도 따져 물을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 대정부 질문에는 각 소관부처 장관들이 자리하는데요.

한동훈 법무부 장관도 참석하는 만큼 최근 헌법재판소의 '검수완박' 법안 유효 결정과 특검 등을 놓고 야권의 공세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또 북한의 전술 핵탄두 개발 상황과 북한의 잇단 도발에 대한 정부 대응책에 관한 질의도 오갈 것으로 보입니다.

내일은 경제 분야, 모레는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 질문이 이어집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

#4·3추념식 #대정부질문 #여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