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금리 산정 투명해야”…은행들 긴장

  • 작년


[앵커]
뉴스에이 시작합니다.

저는 동정민입니다.

은행의 고금리와 내부 돈잔치에 대한 정부의 압박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어제 대통령에 이어 오늘은 측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금리 산정 기준을 들여다보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예금 금리는 2%대로 떨어지는데 대출 이자는 6, 7% 유지되면서 격차가 벌어지는 상황,

국가가 은행의 금리를 정할 순 없지만 그 기준은 투명하고 합리적이어야 한다는 건데요.

내일 대통령 주재 회의도 열립니다.

계속된 압박에 은행들도 긴장하는 분위기입니다.

첫 소식, 강유현 기자입니다.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오늘 임원회의에서 "은행 금리 산정이 보다 투명하고 합리적으로 이뤄지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전날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들의 '돈 잔치'를 비판한 지 하루만입니다.

고금리 시대 시중 은행들이 대출금리는 빠르게 올리고 예금금리는 더디게 반영해 역대 최대 이자이익을 내고 1조 원 넘는 성과급 잔치까지 벌인 데 대해 제동을 건 겁니다.
 
금감원은 2021년 말부터 대출금리 적정성을 검토 중이라고 밝혀왔지만 막상 검토 결과는 한 번도 발표하지 않았습니다.

이 사이 변동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지난달 초 연 8%대까지 올랐다가 여론의 집중 포화를 맞으며 연 6.8%대까지 내려왔습니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원회는 은행들이 기준금리 대비 대출금리를 과도하게 올렸는지 외부 용역을 통해 따져보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내일 윤석열 대통령이 주재하는 비상경제민생회의가 열리는데, 물가 안정 방안과 함께 신용도와 소득이 낮은 취약계층 금융 지원책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복현 / 금융감독원장 (지난 6일)]
"은행 등 금융권이 앞장서 시장 안정과 취약차주 지원 등을 위해서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앞서 은행들은 지난달 향후 3년간 5천억 원을 취약차주 지원에 쓰겠다고 발표했는데 금융당국은 은행권과 지원 규모를 늘리는 방안을 논의 중입니다.

다만 은행들은 지원을 늘리면 수익과 주주 배당이 줄어들 수 있어 확대 수준을 고심하고 있습니다.

채널A뉴스 강유현입니다.

영상편집 : 박형기


강유현 기자 yhkang@ichannel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