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도 수출 둔화'…내년 하반기 반전 가능성

  • 작년
'상반기도 수출 둔화'…내년 하반기 반전 가능성

[앵커]

다가오는 새해 우리 정부와 기관들이 내놓은 수출 전망은 밝지 않습니다.

반도체 등 주력산업의 수출 둔화로 무역적자 흐름이 당분간 유지될 전망인데요.

하지만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수입액이 감소하면 하반기 무역수지 적자 폭이 줄어들 거란 예측도 있습니다.

김장현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예측한 새해 수출액 증감률은 -4.5%.

2020년 이후 3년 만의 역성장입니다.

무역수지도 기관별로 다르지만 적자 규모를 138억 달러에서 266억 달러로 전망했습니다.

우리 수출의 약 20%를 차지하는 반도체의 수출 둔화와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적자가 지속될 것으로 봤습니다.

"반도체 수요가 2분기쯤 저점을 찍고 이후에는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수요회복을 단기적으로 기대하긴 어려운 상황입니다."

여기에 미국의 IRA와 전 세계적 공급망 문제 영향으로 우리 수출 주력 품목이라 할 수 있는 자동차와 철강 업계의 불확실성도 큽니다.

"자동차도 수출이 소폭 증가하지만 (증가세가) 크게 둔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철강 가격이 하향 안정화되면서 수출액도 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다만 내년 하반기에는 무역수지 적자폭이 줄어들 가능성이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수요 부진으로 내년 상반기를 지나면 에너지·원자재 가격이 하락할 거란 예측이 꽤 있기 때문입니다.

올 해 11월까지 원유·가스·석탄 등 3대 에너지 수입액은 1,741억 달러로, 1년 전보다 748억 달러나 급증했습니다.

이는 11월까지의 누적 무역적자 426억 달러보다 무려 322억달러나 많습니다.

연합뉴스TV 김장현입니다.

#무역수지 #전망 #기회 #위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