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공습경보‥"어디로 대피하나" 혼란

  • 2년 전
◀ 앵커 ▶

어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직후 울릉도엔 공습경보가 발령됐습니다.

◀ 앵커 ▶

공습경보는 이후 경계경보로 전환됐다 오후 10시쯤 완전 해제됐는데, 주민들은 처음 겪어 본 미사일 경보에 크게 당황했고 대피할 곳도 마땅치 않아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김형일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오전 8시 55분.

울릉도 전역에 공습경보를 알리는 사이렌이 2~3분간 울렸습니다.

울릉도에서는 처음으로 울려 퍼진 공습경보였습니다.

[김영화/울릉군 서면 태하리]
"사이렌 틀고 야단을 치고… 나는 혹시 '환자가 생겼나, 불이 났는가' 이런 생각을 했는데…"

울릉군청 공무원 일부는 지하 시설로 대피했고, 7개 초중고 4백여 명의 학생들도 수업을 중단하고 대피했습니다.

공무원들과 일부 주민들만 대피한 이후, 뒤늦게 방송 등을 통해 북한이 울릉도 방향으로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사실을 접한 주민들은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황진영/울릉군 울릉읍 사동리]
"외지인들을 통해서 전화로 듣거나 방송을 통해서 우리가 (미사일 발사 소식을) 접하게 됐고, 그 이후에 이제 주민들의 공포감은 말할 것도 없이 상승을 했죠."

## 광고 ##오후 2시엔 공습경보가 해제되고 경계경보로 바뀌는 과정에서 또다시 사이렌이 울리는 등 울릉도는 하루 종일 뒤숭숭한 분위기였습니다.

하지만 군 당국과 행정 기관의 미흡한 대처에 대다수 주민들은 큰 혼란을 겪었습니다.

울릉군의 대피 안내 문자는 공습경보가 울린 지 24분이 지나서야 휴대전화 앱을 통해 발신됐고, 정부의 긴급재난문자도 없었습니다.

대피 장소 역시 제대로 알고 있는 주민이 드물었습니다.

울릉군은 9시 1분에서야 민방위 본부로부터 공습경보의 내용을 확인했고, 처음 있는 일이어서 대처가 늦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북한의 미사일이 이제는 울릉도까지 위협하면서, 공습에 대비한 민방위 지하 대피 시설 확충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형일입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