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배터리 여권제' 시행 예정…"시스템 구축 필요"

  • 2년 전
EU '배터리 여권제' 시행 예정…"시스템 구축 필요"

[앵커]

K배터리라 불리는 우리 배터리 기업들,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의 주도권을 놓고 중국과 맞붙고 있죠.

그런데 유럽연합, EU가 2026년부터 '배터리 여권제'를 시행할 예정인데요.

자칫,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과 같은 악재가 되지 않도록 대비가 시급합니다.

김종력 기자입니다.

[기자]

유럽연합, EU가 2026년 시행 예정인 '배터리 여권제'.

안전성과 재활용 비율을 높이기 위해 EU 내에서 거래되는 용량 2kWh 이상인 모든 산업용, 자동차용 배터리의 생산과 이용, 재활용 등 전 생애주기를 디지털로 기록하고 공유하는 제도입니다.

이러한 디지털 이력이 확인되지 않는 배터리는 유럽에서 판매할 수 없게 됩니다.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우리와 경쟁하고 있는 중국은 지난 2018년부터 '배터리 이력 추적 플랫폼'을 구축해 운용중입니다.

전기차 배터리의 생산부터 재활용까지 모든 과정을 정부가 관리 감독하고 있어 유럽연합이 '배터리 여권제'를 시행해도 큰 걱정이 없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관련 플랫폼이 없습니다.

정부가 최근 전기차 배터리 전 생애주기 이력을 공공 데이터베이스에 담아 관리할 수 있도록 자동차관리법 개정 추진 방침을 밝힌 정도입니다.

"유럽 연합의 시스템 구축과 표준화 과정을 모니터링하면서 우리나라 한국식의 배터리 이력 추적 시스템 구축을 서둘러야 할 거 같습니다."

전문가들은 유럽연합의 '배터리여권제'와 별개로, 국내 배터리 순환경제 구축을 위해서 '한국식 배터리 이력 추적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종력입니다.

#배터리_여권제 #전기차_배터리 #추적관리시스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