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나면 통째로 교체하는 전기차 배터리…수리 기준 필요

  • 3개월 전
사고나면 통째로 교체하는 전기차 배터리…수리 기준 필요

[앵커]

최근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전기차 배터리 관련 사고도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그런데 전기차 배터리를 수리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지 않아, 사회적 비용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박지운 기자입니다.

[기자]

정체를 알 수 없는 물체가 날아와 전기차 밑부분을 타격합니다.

바닥에 달린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손상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이 같은 전기차 배터리 손상사고는 최근 5년간 14배 늘어났는데, 내년에는 5,000건에 달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그런데, 고쳐 쓸 수 있는 배터리를 통째로 교체하는 일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해 신품 교환을 요구했던 배터리 사고의 81%는 부분 수리가 가능했는데, 심지어 77%는 케이스만 바꾸면 되는 가벼운 사고였습니다.

케이스가 찌그러진 배터리입니다.

이렇게 경미한 손상만 입은 경우 배터리 자체에는 문제가 없기 때문에 충분히 수리가 가능합니다.

"배터리 하부 케이스만 교체하게 되면 신품 가격이 2,300만 원 정도 되기 때문에 200만 원 정도로 차주 입장에서는 비용이 한 10분의 1 정도로 줄어드는…."

하지만 수리나 교환을 판별할 기준이 없고, 부품 공급 자체를 안 하는 제작사들도 많아 부분 수리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렇다 보니 배터리 수리를 맡길 정비소도, 전문 인력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전문가들은 사회적 비용을 줄이고 폐배터리로 인한 환경 오염을 막기 위해 배터리 수리나 리퍼 등 이른바 '재제조' 과정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제작사별로 명확한 기준을 마련해야 된다고 말씀드리고 그리고 정밀한 성능평가 기준이 미흡합니다.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정밀 진단 기술을 개발해서 보급해주면 정비 현장에서도 제대로 판단을…."

나아가 배터리 수리 후 보증과 안전관리를 책임질 법적 주체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도 제언했습니다.

연합뉴스TV 박지운입니다. (zwoonie@yna.co.kr)

[영상취재기자 함동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