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송금 경고 여러 차례…은행들, 뒷북 대책 분주

  • 2년 전
이상 송금 경고 여러 차례…은행들, 뒷북 대책 분주

[앵커]

7조원으로 불어난 이상 해외 송금 파문은 가상화폐 시장 교란행위 성격이 강한데요.

이번 사태가 나기 1년여 전부터 감독당국이 여러차례 은행들에 경고한 사실이 확인됐습니다.

수수료에 눈 먼 은행들이 이를 무시하다 일이 터진 셈입니다.

김동욱 기자입니다.

[기자]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3월 하나은행에서 3,000억원 넘는 이상 외환 거래를 적발했습니다.

해외 가상자산거래소로 송금된 가상자산 차익 거래였습니다.

금감원은 한 달 뒤 5대 은행 외환 담당 부서장과 화상회의를 열어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국내 가상화폐 시세가 해외보다 비싼 이른바 '김치 프리미엄'을 노린 차익 거래가 성행하니 불법 이상 송금이 발생하지 않게 철저히 모니터링하란 것이었습니다.

이후에도 금감원은 외국환 거래 운영협의회를 통해 수차례 경고를 반복했습니다.

하지만 수수료 이익을 노린 은행들이 머뭇거리는 사이, 사태는 더욱 커졌습니다.

금감원 검사가 진행 중인 우리,신한은행의 이상 송금만 4조1,000억원에, 자체 점검으로 파악된 다른 은행들의 이상 송금을 더하면 이상 거래가 무려 7조원에 달하는 겁니다.

"가상자산 거래소를 매개로 해서 원화자산을 외화로 바꿔 일방적으로 유출된 것으로, 어떤 시장교란성 성격이 강하고… 사실관계를 확인하고 누가 책임이 있는지 하나하나 금융기관의 책임을 묻겠습니다."

은행들은 뒤늦게 대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하나은행은 외화 송금 적정성 집중 점검팀을 본점에 설치하기로 했고, KB국민은행도 해외 송금시 추가 정보를 요청해 거래의 진정성과 자금 원천을 확인하기로 했습니다.

금감원은 주요 은행들의 자체 점검 결과를 토대로, 조만간 전 은행권 대상 검사에 나설 전망입니다.

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 (dk1@yna.co.kr)

#하나은행 #우리은행 #신한은행 #이상외환거래 #금감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