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읽기] 금리 인상 여파로 서울 아파트 '거래절벽'

  • 2년 전
[경제읽기] 금리 인상 여파로 서울 아파트 '거래절벽'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이자 상환 부담으로, 아파트 거래량은 줄어들고 미분양은 늘어나는 등 부동산 시장에 변화가 생기고 있습니다.

지난달 6%대를 기록했던 물가 상승률이 더 오를 것이란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는데요.

관련 내용, 김광석 한양대학교 겸임교수와 진단해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역대 최저 행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매수 심리도 12주 연속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에 따른 집값 하락 우려가 영향을 미친 걸까요?

주택 '거래절벽' 현상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분양 주택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청약 불패 지역으로 꼽히던 서울에서도 미분양 물량이 증가했는데 집값에는 어떤 변수가 될까요?

지난달 6%대를 기록한 물가 상승률이 이번 달에도 계속될 전망입니다. 7월부터 전기·가스요금 추가 인상분이 반영되는 만큼 물가상승률이 7%를 넘길 수 있다는 우려도 있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돌발 변수가 없다면 국내소비자물가 상승세가 이르면 9월, 늦으면 10월 정점을 찍을 거라 예상했는데 고삐 풀린 물가에 제동을 걸만한 요소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국내 소비가 24년여 만에 4개월 연속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어떤 배경 때문일까요? 미국의 통화 긴축 등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우리 경제에도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워지는 듯한데 하반기 경기 상황,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최근 대출자들이 상환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기준금리가 앞으로 더 오르게 되면 대출금리도 덩달아 오르게 되는 만큼 불필요한 대출을 선제적으로 줄이려는 듯한데 얼마나 감소했나요?

대출자들의 움직임이 빨라질 수밖에 없는 이유는 기준금리 인상과 시장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 평균 금리가 8년여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기 때문인데요. 현재 은행의 대출 금리 수준은 어떤 상황인가요? 고정금리 비중이 다시 확대되는 것도 이 때문이죠?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