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권력 투입' 압박…대우조선 하청파업 분수령

  • 2년 전
'공권력 투입' 압박…대우조선 하청파업 분수령
[뉴스리뷰]

[앵커]

대우조선해양의 하청 노동자 파업이 한 달 반 가까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정부는 평화적 타결을 요구하고 있지만 공권력 투입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면서 긴장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습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바닥에서 15m 높이 난간 위, 대우조선해양 민주노총 소속 하청 노동자 6명이 농성을 벌이고 있습니다.

화물창 바닥엔 가로·세로 높이 1m의 철제 구조물 안에 하청노조 부지회장이 들어가 용접으로 출입구를 막고 이른바 '감옥투쟁' 중입니다.

이들은 지난 5년간 30% 삭감된 임금의 원상회복을 요구하며 지난달 2일 파업에 돌입해 벌써 50일이 가까워졌고, 지난달 22일 부터는 도크에서 건조 중인 원유운반선 점거에 들어간 상황입니다.

여기에 정부가 긴급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공권력 투입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윤희근 경찰청장 후보자와 함께 헬기로 현장을 찾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여러 희생이나 예기치 않은 문제가 있을 수 있지만 "공권력 투입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정식 노동부 장관은 직접 도크에 내려가 농성을 풀면 평화적 타결을 지원하겠다고 전했지만, 노조는 거부했습니다.

지난 15일부터 다시 협상 테이블에 앉아 사측에 최대한 양보한 제시안을 냈는데, 오히려 정부가 나서 노조를 겁박하고 있다는 겁니다.

"투쟁을 불법으로 매도하고 공권력을 투입할 것을 시사하는 그런 발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교섭 지원이 아니라 하청노동자들을 겁박하는 백기 투항하고 항복하라는 겁니다."

당장 전국 금속노조는 20일 서울과 거제에서 동시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공권력 투입시 전면 총파업에 나서겠다고 경고했습니다.

이번 사태가 향후 노-정 관계의 가늠자가 될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해결 과정에선 이번 주가 분수령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goodman@yna.co.kr)

#대우조선 #공권력 #총파업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