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시설 감시카메라 다 끄겠다는 이란…핵합의 복원 물 건너가나

  • 2년 전
핵시설 감시카메라 다 끄겠다는 이란…핵합의 복원 물 건너가나

[앵커]

이란이 자국 주요 핵시설에서 우라늄 농축 수준을 감시하는 감시 카메라 운영을 사실상 모두 중단한다고 통보했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 IAEA가 자국을 규탄하는 결의안을 채택한데 대한 반발입니다.

핵합의 복원 노력에 찬물을 끼얹자 서방은 일제히 비난했습니다.

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이란이 국제원자력기구, IAEA에 추가 차단을 통보한 감시 카메라는 모두 27대. 2015년 체결된 핵합의에 따라 설치한 장비 전량에 해당합니다.

미확인 장소 3곳에서 핵물질 검출과 관련해 신뢰할만한 해명을 내놓지 못했다며 IAEA가 규탄 결의안을 통과시킨데 반발해 사실상 모든 카메라를 끄겠다고 나선 겁니다.

이란은 2015년 당시 미국 등 6개국과 핵무기 개발을 중단하되 경제 제재를 해제받기로 약속했고, 카메라는 합의 이행 여부를 점검하는 핵심 장비입니다.

앞서 이란은 최근 IAEA가 결의안 준비 움직임을 보이자 카메라 2대의 작동을 멈춘 바 있습니다.

"IAEA는 이란 핵활동 감시에 있어 심각한 도전에 직면했습니다. 핵합의 복원 노력에 치명타이기도 합니다."

IAEA 측은 이란에 대한 핵사찰을 재개할 수 있는 기간이 앞으로 3∼4주 밖에 남지 않았으며, 이후에는 국제사회가 이란의 중요 핵 활동을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전부 상실할 것을 우려했습니다.

다만, 핵합의 이전에 설치한 카메라 40여대는 계속 가동할 것로 보인다는 설명입니다.

IAEA의 결의안 채택과 이란의 보복성 조처는 2018년 트럼프 행정부가 핵합의 파기를 선언한 이후, 작년 4월부터 진행돼 온 복원 회담이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나온 것입니다.

미국과 유럽 주요 국가들은 이란이 핵합의를 되살리려는 노력에 찬물을 끼얹으며 상황 악화를 자초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토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은 "핵 위기와 이란의 정치·경제적 고립을 더욱 심화하는 일"이라고 지적했고, 영국과 프랑스, 독일도 공동성명을 통해 이란의 태도를 성토했습니다.

연합뉴스 김지선입니다.

#이란 #IAEA #국제원자력기구 #핵시설 #감시카메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