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치 키우고 더 높고 멀리 날아…미국 전역 타격권

  • 2년 전
덩치 키우고 더 높고 멀리 날아…미국 전역 타격권

[앵커]

북한이 발사에 성공했다고 밝힌 '화성-17형'은 기존 ICBM보다 크고, 더 높고, 멀리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만, 한미 당국은 화성-17형과 다른 기종의 ICBM일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정밀 분석 중입니다.

장윤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화성-17형'은 2020년 10월 10일 노동당 창건 75주년 열병식에서 처음 등장했습니다.

열병식 당시 ICBM의 이동식발사차량(TEL)의 바퀴는 11축 22륜(바퀴 22개)으로 식별됐습니다.

2017년 11월 발사한 ICBM '화성-15형'의 이동식발사차량, 9축 18륜보다 커진 것입니다.

화성-17형은 핵 탄두 2~3개를 탑재할 수 있는 다탄두 형상을 지녀 기술이 성공한다면 여러 목표물을 동시에 타격할 수 있습니다.

길이는 화성-15형 21m보다 다소 늘어난 22~24m가량으로 추정되며, ICBM 길이로는 세계에서 가장 길어 이른바 '괴물 ICBM'으로도 불립니다.

직경이 커진 것은 추진 엔진에 큰 변화를 줬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화성-17형은 3단 미사일로 1단은 백두산 트윈 엔진, 2단은 신형엔진, 3단은 고체 엔진 모터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북한 발표에 따르면 화성-17형은 최대정점고도 6,248.5㎞까지 상승하며 거리 1,090㎞를 4,052초, 약 67분간 비행했습니다.

우리 군이 탐지한 내용과도 거의 비슷해 북한이 지금까지 발사한 ICBM 중 가장 고도화된 것으로 평가됩니다.

30~45도 정상 각도로 발사하면 추정상 미국 본토뿐만 아니라 오세아니아와 남미 일부 지역까지 사정권에 둘 수 있습니다.

다만 북한이 ICBM 핵심 기술인 탄두의 대기권 재진입 기술까지 성공했는지는 확인이 되지 않고 있습니다.

앞서 북한은 지난달 27일과 지난 5일 평양 순안일대에서 동해상으로 탄도미사일을 한발씩 발사하며, 정찰위성 장비를 시험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한·미는 북한이 우주발사체를 가장해 신형 ICBM 관련 성능을 시험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한미가 북한에 사전 경고한 의미가 크지만, 북한은 이번 발사로 위협 수위를 높이게 됐습니다.

합참이 신형 ICBM 여부를 정밀 분석 중인 가운데, 한미 국방장관은 전화통화에서 북한을 강력히 규탄하면서 한미연합방위태세가 철통같이 유지되고 있음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 (ego@yna.co.kr)

#북한신형ICBM #합참분석중 #한미연합대응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