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야당 된 민주당 앞날은…비대위 전환 가능성

  • 2년 전
거대야당 된 민주당 앞날은…비대위 전환 가능성

[앵커]

20대 대선에서 패배한 더불어민주당은 172석 거대여당에서 야당으로 지위가 180도 바뀌었습니다.

촛불민심의 지지를 업고 집권했지만 5년 만에 정권을 내줬기에, 패배는 뼈아플 수밖에 없습니다.

보도에 장보경 기자입니다.

[기자]

국정농단 사태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거치며 촛불민심은 민주당에 힘을 실었습니다.

대선, 지방선거 승리에 이어 2020년 총선까지 4연승.

개헌 빼곤 다 할 수 있는 180석을 몰아줬습니다.

그러나 부동산값 폭등으로 촉발된 정권심판론이 불타오르며, 1년 만에 민심은 차갑게 식었습니다.

"검찰개혁은 종전에 많은 국민들이 공감하는 정책이었으나 추미애-윤석열 갈등으로 점철된 추진 과정에서 국민들의 공감대를 잃고 말았습니다."

쇄신 작업과 반성·사과가 이어졌지만…

"지금까지와는 완전히 다른, 변화되고 혁신된 새로운 민주당으로 거듭나겠다는 의미로 사죄의 절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거센 정권교체론을 되돌리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1987년 이후 보수정당과 민주당계 정당은 약속이나 한 듯 10년 주기로 번갈아 집권했습니다.

한 번 집권 후 바로 교체 대상이 된 건 처음입니다.

이재명 후보가 윤석열 당선인과 역대 최소 표차로 아슬아슬한 승부를 벌이며, 재보선 때보단 심판론이 누그러진 건 그나마 위안이 되는 지점입니다.

송영길 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는 총사퇴하고 비대위 체제로 전환한 뒤 수습 방안을 모색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과정에서 세대 교체와 86용퇴론이 강하게 분출할 수 있습니다.

당내 권력 다툼이나 혼란상이 노출되면, 민심 수습은 커녕 치명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갈등이 당장 표면화하지 않을 거란 시각도 있습니다.

172석 거대 야당 지위를 발판으로 '윤석열 정부'를 강하게 견제하며 당내 전열을 재정비할 수 있다는 겁니다.

6·1 지방선거가 석 달도 채 남지 않았기 때문에 민주당은 민심 수습과 당 쇄신에 속도를 내야하는 과제를 안게 됐습니다.

연합뉴스TV 장보경입니다.

#거대야당 #민주당 #윤석열정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