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메이커] "3.1% 성장"…불확실성 속 내년 경제정책 방향은

  • 2년 전
[뉴스메이커] "3.1% 성장"…불확실성 속 내년 경제정책 방향은


정부가 오늘(20일) 내년 경제정책방향을 공개하고 내년을 코로나19 위기에서 경제 정상화로 복귀하는 원년으로 삼겠다고 밝혔습니다.

나라 안팎의 리스크가 여전한 상황에서 문재인 정부의 마지막 경제정책방향,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모시고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내년 3.1% 경제성장 전망을 제시하셨는데, 전망의 근거부터 말씀 부탁드립니다. 내년 코로나19 종식이 가능할 것이란 세계보건기구 전문가 언급도 있었는데 코로나 상황이 언제 끝날 것을 가정한 지표인가요. 또 방역상황이 예상대로 되지 않을 경우 전망치 조정도 가능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코로나 위기 속 고용 지표는 정부 제공 일자리 덕에 개선된 영향이 컸던 게 사실입니다. 내년 고용 개선의 양과 질적인 목표를 제시해 주신다면요.

코로나 상황이 길어지다 보니 취업 취약계층이 실업 상태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력효과'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학번'이라고 불리는 청년층들 사정이 심각한데, 이와 관련해 어떤 대책을 준비하셨는지요?

기름값에 생활비까지 월급 빼고 다 오른다고 하죠. 내년 물가 상승률을 2.2%로 전망하셨는데, 한국은행이 물가안정 목표치로 보는 2.0%보다 높습니다. 체감 물가 상승률은 훨씬 클 텐데요. 서민 피부에 와닿을 물가 안정책을 소개해 주시면요.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 공급 리스크는 사실 우리 정부나 기업이 대처하기에 한계가 있는 게 사실입니다만 어떻게 대응해나갈 계획이신지요?

수출은 다행히 호조가 이어지고 있고 정부도 올해 하반기 경제정책에 이어 내수 진작에 계속 중점을 두시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포함된 대표적 내수진작책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간략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여러 대책 중에 현재 최대 5,000달러인 면세점 구매 한도 폐지가 눈에 띄는데, 면세 한도는 그대로인지 궁금합니다.

미래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투자도 매우 중요한 과제인데요, 투자 분위기 확산을 위해 마련하신 대책들의 주요 내용이 무엇인지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