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홧발에 짓밟힌 민주주의…끝내 이뤄지지 못한 사죄

  • 3년 전
군홧발에 짓밟힌 민주주의…끝내 이뤄지지 못한 사죄

[앵커]

별세한 전두환 전 대통령은 1980년 광주에 계엄군을 투입해 유혈 진압을 벌이는 등 민주화의 시곗바늘을 거꾸로 돌렸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5.18 당시 신군부의 만행을 밝히기 위한 진상 조사는 여전히 진행 중인데, 신군부 '1인자'의 진정성 있는 사죄는 끝내 이뤄질 수 없게 됐습니다.

박현우 기자입니다.

[기자]

1979년, 40대의 '정치 군인' 전두환은 12·12 군사 쿠데타로 실권을 장악했습니다.

이듬해 5월 17일에는 전국비상계엄 확대 조치를 이끌어 내며 정권 찬탈을 위한 '실탄'을 장전합니다.

하루 뒤 새벽, 광주에 계엄군이 투입됐습니다.

전남대와 조선대를 시작으로, '5·18 유혈진압'은 전남도청이 군홧발에 짓밟힌 27일까지 9일간 이어졌습니다.

이듬해 3월에는 바꾼 헌법을 통해 치른 체육관 간접선거로 대통령 자리에 오릅니다.

재임기간 이른바 '3S 정책'으로 대표되는 우민화 정책을 폈고, '불량배 소탕' 명목으로 삼청교육대를 설립했습니다.

'반정부 활동' 의심자에 대한 고문 자행 등 민주화 운동에 대한 탄압은 재임 기간 내내 지속됐습니다.

'폭정의 민낯'은 1987년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과 '이한열 열사 최루탄 피격 사건'을 정점으로 만천하에 드러났고, 전국으로 옮겨붙은 '민주화 들불' 앞에 결국 무릎을 꿇게 됩니다.

5·18 당시 '발포 명령'의 책임자가 누구인지와 '헬기 사격' 등의 진상을 밝히기 위한 조사는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전 전 대통령은 생전 헬기 사격을 목격했다고 증언한 고 조비오 신부를 '파렴치한 거짓말쟁이'라고 비난하며 '발포 명령'에 대해서도 부인했습니다.

"내가 발포 명령 내릴 위치에도 있지 않은데 위에서 명령권 없는 사람이 명령을 내려?"

5·18 당시의 진상을 밝히기 위한 노력은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지만, '신군부 1인자'의 진정성 있는 사죄는 끝내 이뤄질 수 없게 됐습니다.

연합뉴스TV 박현우입니다. (hwp@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