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주자들 "언론중재법 공동 저지"…與 "내일 처리"

  • 3년 전
野주자들 "언론중재법 공동 저지"…與 "내일 처리"

[앵커]

더불어민주당이 내일(25일) 본회의에서 언론중재법 처리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습니다.

국민의힘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저지하겠다고 맞선 가운데, 대선주자들 사이에선 공동 대응 목소리도 나왔습니다.

박초롱 기자입니다.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최대 5배의 '징벌적 손해배상'을 도입하는 언론중재법이 가짜뉴스 피해 구제를 위한 거라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윤석열 전 총장은 언론중재법이) 정권 연장을 위한 것이라는데 이 법이 내년 4월부터 시행되고 대통령 선거가 3월 9일인데, 무슨 대통령 선거를 위해서 언론에 재갈을 물린다는 거예요?"

국민 다수가 언론중재법 개정안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를 앞세워, 25일 본회의 처리를 못박았습니다.

국민의힘은 전면전을 선언했습니다.

본회의 때 필리버스터를 진행하고, 법안이 강행 처리된다면 헌법재판소에 권한쟁의 심판을 청구하겠다는 방침입니다.

대권주자들도 공동행동에 나섰습니다.

최재형 전 감사원장은 이준석 대표를 찾아가 대권주자 13명이 참석하는 연석회의를 만들어 함께 투쟁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오는 25일 비전 발표회를 연기하고 공동 대응하자는 목소리도 잇따랐습니다.

"사실 가짜뉴스는 유튜브에 많은데 유튜브는 빼놓았어요. 유시민 전 장관같은 유튜버, 특히 친여 성향 유튜버들에게는 빠져나갈 사각지대를 일부러 만들어줬고요."

민주당 주자들의 입장은 엇갈립니다.

박용진 후보는 "견제와 비판이라는 언론 기능이 약화돼선 안 된다"며 반대입장을 밝혔고, 이낙연·정세균 후보는 법안 내용에 찬성하면서도 처리 과정에는 우려를 표했습니다.

"우려를 해소하려는 설명 또는 숙고의 노력도 병행했으면 합니다."

송상현 전 국제형사재판소장, 김현 전 대한변협 회장 등 법조계와 언론계 원로들은 기자회견과 1인 시위를 잇달아 열어 언론중재법 강행 처리를 중단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박초롱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