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붕괴참사 한 달…'인재' 지적 속 막바지 수사

  • 3년 전
광주 붕괴참사 한 달…'인재' 지적 속 막바지 수사

[앵커]

내일(9일)이면 광주 철거건물 붕괴 참사가 발생한 지 한 달이 됩니다.

상상도 못 한 사고로 9명이 목숨을 잃고, 8명이 다쳤습니다.

사고 직후 시작된 경찰 수사는 생각처럼 속도를 내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이호진 기자입니다.

[기자]

어처구니없이 무너져 내리는 건물.

하필 그 시간 바로 옆 버스정류장에 멈춰 섰던 버스 1대.

지난 6월 9일, 광주 학동 재개발 현장에서 철거 중이던 5층짜리 건물이 도로 쪽으로 쓰러졌습니다.

이 사고로 9명이 숨지고, 8명이 다쳤습니다.

안전보다는 이익을 최우선시한 업체, 부실한 감리, 허술한 행정 등 복마전이라 불리는 재개발사업의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드러낸 참사였습니다.

이후 한 달 동안 경찰은 사고 원인과 책임 소재 규명, 재개발 비위 등 2개 분야로 나눠 수사에 총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22명을 입건하고, 참사에 직접 책임이 있는 것으로 파악된 3명을 구속했지만, 전반적인 수사는 속도를 내지 못하는 모습입니다.

경찰은 원인과 책임자 규명 수사는 마무리 수순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경찰 수사를 뒷받침해 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원인 분석 결과 통보가 늦어지고 있습니다.

"중간발표는 없이 20일 이후에 최종 발표하는 것으로 그렇게 입장을 국과수에서 거기서 연락이 왔어요."

국과수로부터 사고 원인 분석 결과를 확인해야 시공사와 철거업체의 책임을 입증할 수 있는데, 결과 통보가 늦어지면서 수사 결과 발표도 늦어지고 있는 겁니다.

게다가 재개발사업 비위 수사는 이제야 기초 조사에 착수한 상태입니다.

경찰은 철거업체 선정 과정의 비위와 불법 하도급 여부, 공무원 개입 여부 등을 나눠 수사에 들어갔습니다.

철거업체 계약 과정에서 금품이 오간 정황이 일부 확인됐고, 감리 부실 등도 드러났지만 주요 피의자의 해외 도피, 압수수색 관련 증거 인멸 등 걸림돌도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

경찰은 많은 사상자가 발생한 중대 사안인 만큼 수사 속도를 내는 것보단 한 점 의혹도 남지 않도록 철저한 수사를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이호진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