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2천조원 코로나 경기부양법 서명…인플레 우려도

  • 3년 전
바이든, 2천조원 코로나 경기부양법 서명…인플레 우려도

[앵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2천조원이 넘는 초대형 경기부양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미 역사상 가장 규모가 큰 경기부양책으로 평가되는데요.

코로나19로 큰 타격을 입은 경기 활성화에 대한 기대 속에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습니다.

김영만 기자입니다.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1조9천억 달러, 우리돈 2천140조원 규모의 초대형 경기부양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경기부양책 중 하나라고 미 언론은 평가했습니다.

"이 역사적인 입법은 나라의 근간을 재건하고 노동자들과 중산층, 국가를 건설하는 사람들에게 (코로나19에 맞서) 싸울 기회를 줄 것입니다."

'미국 구조 계획'이라 불리는 이 법에는 미국 가정의 90%에 1인당 최고 1천400달러, 우리 돈 160만원의 현금을 지급하는 등의 내용이 담겼습니다.

주당 300달러의 실업급여 지급 연장, 저소득 가구 임대료 지원, 백신 접종 확대 등 예산도 포함됐습니다.

바이든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다음 주부터 이러한 코로나19 구제책을 국민에게 직접 알리는 '대국민 투어'에 나섭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오는 16일 펜실베이니아주를 방문하고, 해리스 부통령은 15일 네바다주를 방문할 예정입니다.

하지만 이 같은 초대형 경기부양책이 인플레이션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금융 전문가들은 경기부양책으로 시장에 풀릴 1조9천억 달러 외에 미국의 저축액이 1조 달러에 달해 물가 상승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는 금리 상승으로 이어져 투자심리를 얼어붙게 하고, 미 국채 금리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란 지적입니다.

반면 인플레이션을 걱정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반론도 적지 않습니다.

경기부양책 지지자들은 인플레이션보다도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입장입니다.

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 (ymk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