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출신 민정수석, '중재자 역할' 무시 당해서?

  • 3년 전
◀ 앵커 ▶

임명된 지 두달도 안 된 민정 수석이 반복해서 사의를 표하는 데에서 심각성이 읽힌다면

청와대가 이례적으로 그 사의 배경을 상세히 설명하는 데에서는 곤혹스러움이 읽힙니다.

청와대 취재 기자 연결해서 몇 가지 질문, 더 해보겠습니다.

엄지인 기자.

◀ 기자 ▶

네, 청와대입니다.

◀ 앵커 ▶

신현수 수석이 반복해서 사퇴 의사를 밝히고 있다는 건 그만큼 불만이 크다는 건데 분노한 배경부터 정리해 볼까요?

◀ 기자 ▶

신현수 수석이 검찰 인사와 관련해 법무부와 이견을 빚은 인물은 이성윤, 심재철 두 검사장이었던 걸로 전해졌습니다.

이 두 사람은 윤석열 검찰총장 징계와 관련이 있거나 갈등을 빚었던, 추미애 전 장관 측근들이죠.

이들을 모두 교체하자는 검찰총장과 유임시키자는 법무부장관 사이에서 신 수석은 검찰쪽 의견에 힘을 실어줬던 건데요.

조율 과정에서 법무부가 돌연 법무부안 대로 인사를 발표했던 겁니다.

'중재자 역할'이 무시됐다고 본 신 수석이 결국 사의를 표한 거다, 이런 해석이 청와대와 법조계에 지배적입니다.

◀ 앵커 ▶

아무리 그래도 대통령이 계속 만류하는데도 그만두겠다고 하는 것도 정상적이진 않은데요,

어떻게 해결되는 분위기입니까?

◀ 기자 ▶

## 광고 ##문 대통령이 '사의'를 계속 반려하고 있다고 청와대가 공개 설명한 데에는 신 수석에게 남을 것을 설득하려는 의도란 분석이 많습니다.

청와대 관계자가 '잘 봉합될 거로 본다' '후임인사 준비는 안하고 있고, 계획도 없다'고 선을 긋는 것도 마찬가지 이윱니다.

만약 신 수석이 여기서 이탈하면 임기말 권력누수 논란이 확산될 거란 우려도 깔려 있습니다.

하지만 신 수석은 여전히 사퇴의사가 완강한 걸로 전해졌고,

이 때문에 차라리 교체를 서두르는 게 논란 확산을 차단하는 현실적인 길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 앵커 ▶

민정 수석 말고 다른 참모들도 사의를 표했다는 얘기가 있어요.

◀ 기자 ▶

'민정수석 패싱 논란'의 당사자로 지목된 이광철 민정비서관.

청와대는 패싱도 없었지만 이광철 비서관이 사의를 표명하지도 않았다면서 관련 의혹을 일축했습니다.

법무비서관과 반부패비서관도 사의를 표명했는데, 이건 오래전에 낸 거여서

이번 사태와는 무관하다는 게 청와대 설명입니다.

하지만 이런 설명에도 불구하고

법무부가 왜 신 수석과 조율하지 않고 검찰 인사를 돌연 발표했는지,

또 그 인사안을 대통령이 왜 재가를 해줬는지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청와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취재: 김신영 / 영상편집: 문철학)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