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아닌 '성과급 논란' 확산…"소통·기준설정 중요"

  • 3년 전
때아닌 '성과급 논란' 확산…"소통·기준설정 중요"
[뉴스리뷰]

[앵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은 코로나19로 생계의 위협을 받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반도체 등 분야의 대기업들은 오히려 이익이 크게 늘어나 직원들에게 성과급 잔치를 벌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성과급 기준이 모호하다 보니 직원들 사이에 불만이 확산하고 있어 논란입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SK하이닉스에서 시작된 성과급 논란이 쉽게 끝나지 않고 있습니다.

SK하이닉스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5조를 넘기며 전년보다 84.3%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습니다.

이에 전년과 동일한 연봉 20% 수준 성과급 책정은 이해할 수 없다는 직원들 불만이 쏟아졌고, 최태원 SK 회장은 지난해 연봉을 전부 반납하겠다며 진화에 나섰습니다.

결국 SK하이닉스 사측은 영업이익과 연동한 지급기준 개선과 기본급 200%에 해당하는 우리사주를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성과급 논쟁은 그룹 내 SK텔레콤으로 번지면서, 노조는 20% 넘게 성장한 실적 대비 성과급은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며 체계 전면 개편을 요구했습니다.

여기에 SK하이닉스와 직접 비교 대상이 된 삼성 내부에서도 디스플레이는 연봉 12%인 성과급을 50%인 삼성전자 TV 담당과 비교하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반도체사업부 직원들 사이에선 "영업이익의 절반 넘게 벌었는데 성과급은 적다"는 불만 등 오래된 공정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LG화학에서 분사한 LG에너지 솔루션도 같은 회사였던 LG화학과 차이로 인한 갈등의 불씨가 남았습니다.

"객관적인 '룰세팅'을 초반에 클리어하게 공유하고 시작해야 성과급의 금액 자체를 떠나서 사람들에 대한 수용성이 올라갈 거고 동기를 유발하는 본연의 기능을 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삼성전자나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의 성과급 결정 과정은 '깜깜이'에 가까운 것이 언제든 터질 수 있는 갈등 요인입니다.

상황이 그렇다고 하더라도, 코로나19로 생존 기반이 흔들리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생각한다면 성과급 잔치 논란을 바라보는 국민의 시각은 곱지 않습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