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어보기] 명동 이어 부산도…유니클로 줄줄이 '노재팬 아웃'

  • 3년 전
◀ 앵커 ▶

간밤에 새로 들어온 소식과 사람들의 관심을 끈 뉴스를 전해드리는 '뉴스 열어보기' 시간입니다.

◀ 앵커 ▶

먼저, 노컷뉴스입니다.

◀ 앵커 ▶

2019년 7월부터 시작된 '일본 불매 운동' 여파가 여전히 지속되면서 전국 유니클로 매장의 폐점 행렬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매장인 유니클로 명동중앙점은 지난 1월에 폐점했고, 부산의 한 유니클로 매장도 오는 18일에 폐점할 예정이라는데요.

'일본 불매 운동'의 여파는 한국 유니클로의 실적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한국 유니클로의 2020 회계연도 실적을 보면, 연간 매출은 약 6천3백억 원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과 비교해 54퍼센트 정도 줄었고, 영업 적자는 약 8백억 원에 달한다고 합니다.

◀ 앵커 ▶

다음은 경향신문입니다.

정부가 부정청탁금지법을 한시적으로 유예하면서 백화점과 전통시장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고 합니다.

10만 원이 상한이던 국산 농축산물 선물이 20만 원까지 가능해지면서 백화점에는 '20만 원 이하 선물세트'까지 등장했다는데요.

한 백화점 직원은 "20만 원 이상은 김영란법에 걸리지 않냐"는 질문에 "20만 원 이상도 없어서 못 판다"고 답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전통시장에서는 정육·수산 설 선물세트를 진열대에 올려놓은 매장은 찾아보기 어렵고, 드물게 선물 세트를 진열해둔 청과 매장에도 10만 원이 넘는 제품은 전혀 없었다는데요.

청과매장을 운영하는 한 상인은 "김영란법이 바뀌어도 재래시장은 큰 변화가 없다"면서 "비싸야 6만 원대 상품을 파는 입장에서는 완화된 김영란법이 와닿지 않는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 앵커 ▶

다음은 동아일보입니다.

코로나19 사태가 길어지면서 온 국민이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지만 어려운 주변 이웃을 살피고 함께 극복하려는 마음은 더욱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는 지난해 개인 기부금이 2019년보다 5배 가까이 늘어났고, 사랑의열매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모금액도 서울과 부산 등에서 역대 최고액을 기록했다는데요.

익명의 시민 영웅들은 폐지와 고물을 주워서 판 돈 55만 원과 기초생활수급비를 모은 돈 1천5백만 원 등을 전국 각지에 기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시민들의 나눔 행렬을 "세계에서 보기 드문 공동체 의식"이라고 높이 사면서 "코로나19 시대를 거치면서도 우리 사회는 공동체주의가 살아 있다는 걸 보여준 증거"라고 평가했습니다.

◀ 앵커 ▶

한겨레 살펴봅니다.

한국이 지난해 코로나19 대응을 위해서 추가로 쓴 재정 지원은 국내총생산과 비교해 3.4퍼센트로, 주요 20개국 가운데 15번째로 나타났습니다.

국제통화기금 IMF의 보고서를 보면 한국은 지난해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백신 개발과 재난지원금 등에 약 66조 원의 재정을 썼고,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이나 유동성 공급 같은 금융 지원에는 약 196조 원을 썼다는데요.

한국은 국가 부채가 늘어나는 재정 지원보다는 가계나 소상공인 등 민간이 부담을 지는 금융 지원에 더 적극적이었던 셈입니다.

한 전문가는 "코로나19 대응을 상대적으로 잘해서 재정 지출을 줄인 측면과 재정 보수주의의 영향으로 재정 지출에 소극적이었던 측면, 양쪽을 다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세계일보입니다.

정부가 서울에서만 공공임대주택을 포함해 최대 30만 호를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합니다.

당정은 이번 주 내 발표를 목표로 막바지 조율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용도변경과 용적률 상향 등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겠다는 방침이라는데요.

주택 공급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주택법 등에 명시된 주민 동의 관련 규정을 완화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고 합니다.

유동수 정책위 수석부의장은 "일정 수준의 동의가 모이면 나머지 땅에 대해서 정부가 수용할 수 있도록 법을 바꿀 수 있다"면서 "해당 부지에 공공임대 주택 등이 들어가고 토지주들에게 그에 맞는 보상을 해줄 수 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 앵커 ▶

끝으로, 한국일보입니다.

업계 2위 배달 애플리케이션 '요기요'가 등록 음식점에 최저가를 강요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졌습니다.

요기요는 자사 앱으로 주문한 음식값이 다른 앱이나 전화를 활용한 가격보다 비쌀 경우, 차액의 300퍼센트를 돌려주는 식으로 '최저가 보상제'를 운영?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