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접종 시작보다 코로나 종식이 중요"...정부, '백신 실기론'에 적극 반박 / YTN

  • 3년 전
지난달 ’백신 실기론’ 불거지며 국정 지지율 악화
정부, 백신만큼은 강경 대응…논란 조기 차단
K-방역 성과 희석·국민 불안감 확산 우려


어제(8일) 국회 본회의장에 선 정세균 국무총리는 백신 도입이 늦어졌다는 야당의 주장에 정부가 특별히 책임질 일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방역 빈틈에는 몸을 낮추면서도 이른바 '백신 실기론'에 대해서만큼은 청와대와 정부가 한목소리로 단호히 대응하는 모습입니다.

나연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강기윤 / 국민의힘 의원 : 누군가는 책임을 져야 합니다.]

[정세균 / 국무총리 : 우리가 언제 코로나19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가, 그것으로 평가받는 것이지, 언제 (접종을)시작했느냐가 중요하지 않습니다.]

[강기윤 / 국민의힘 의원 : 질병관리청장 책임을 져야 하느냐, 여기에만 답변하면 됩니다.]

[정세균 / 국무총리 : 저는 특별히 책임질 일 없다고 봅니다.]

백신 조기 도입 실패 책임론에 대한 정세균 국무총리의 답변은 단호했습니다.

아무리 접종을 빨리 시작한들 집단면역이 이뤄지지 않으면 의미가 없고, 정부는 이 같은 상황을 고려한 전략을 이미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이른바 '백신 실기론'이 불거진 건 영국 등 일부 국가의 백신 접종이 시작된 지난달 초·중순쯤.

야권은 정부의 늑장 대응을 전면에 내세웠고, 비판 여론은 문 대통령 국정수행 평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김종인 /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지난달 13일) : 백신의 안정성을 고려한다거나 백신 확보와 접종이 시급하지 않다는 정부 당국의 반복된 입장 표명은 국민들의 분노에 기름을 퍼붓는 격입니다.]

그러자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백신 관련 행보 십여 건을 일일이 열거한 이례적인 서면으로 반박합니다.

이어 문 대통령은 2020년 마지막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작정한 듯 백신 논란에 직접 선을 그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 우리나라가 백신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했다거나, 접종이 늦어질 것이라는 염려가 일각에 있습니다. 사실이 아닙니다.]

같은 날 밤, 문 대통령은 이례적으로 모더나 사 스테판 반셀 CEO와 화상통화를 하고 이튿날 그 결과를 깜짝 공개합니다.

[강민석 / 청와대 대변인 (지난달 29일) : 문 대통령과 반셀 CEO는 우리나라에 2천만 명 분량인, 4천만 도즈의 백신을 공급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유독 백신 문제... (중략)

▶ 기사 원문 : https://www.ytn.co.kr/_ln/0101_202101090436448647
▶ 제보 안내 : http://goo.gl/gEvsAL, 모바일앱, social@ytn.co.kr, #2424

▣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 http://goo.gl/oXJWJs

[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 Korea News Channel YTN ]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