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에 연장 대출만 150조원…"지원연장" VS "부실위험"

  • 3년 전
코로나에 연장 대출만 150조원…"지원연장" VS "부실위험"

[앵커]

코로나19 금융지원 정책으로 대출·보증 만기를 연장한 규모가 지난해 말 기준 150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원래 2달 뒤면 지원이 끝나는데 3차 대유행에 따른 연장 필요성도 높아지는 한편 부실 위험도 무시할 수 없어 금융당국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동훈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시내에서 식당을 운영하며 지난해 정부의 코로나 금융지원을 받아 대출금 만기를 연장한 A씨.

올해 3월까지 대출금 만기를 연장했지만 잇따른 거리두기 단계 상향, 5인 이상 모임 금지 같은 조치에 막막하기만 합니다.

"나갈 돈도 있으니까. 어저께가 임대료를 내는 날인데 못 냈죠. 직원 한 명 월급 줘야 돼서…"

지난해 2월부터 연말까지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상 코로나19 금융지원 규모는 261조 원입니다.

이중 기존 대출·보증 만기를 연장한 규모는 149조6,000억 원에 달합니다.

코로나19 금융지원책으로 대출 만기나 이자 지급 유예 기간은 3월까지로 미뤄졌는데 연장 여부를 두고 금융당국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해당 조치들을 예정대로 끝내는 것은 무리라는 자영업자들의 의견이 나오는 한편, 금융지원 규모의 절반 수준인 126조 원을 짊어진 시중은행이 부채의 부실화 위험을 고려하면 연장은 어렵다는 입장을 금융당국에 전달했기 때문입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면 지원 연장은 필요하나 이자 혹은 원금 분할 상환 등을 병행한 선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연장해주는 기조는 유지하되 약간의 옥석을 가릴 필요가 있다는 면에서 이자 정도는 갚든지, 대출 중에 어느 정도로 상환해라 하는…"

상환 가능성이 낮아진 취약계층은 채무구조조정 대상 확대 등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고 조언합니다.

연합뉴스TV 이동훈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