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대선 승기 어디로…정부, '모든 경우의 수' 대비

  • 4년 전
미 대선 승기 어디로…정부, '모든 경우의 수' 대비

[앵커]

미국 대선일이 목전에 다가오면서 정부도 누가 승기를 거머쥘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트럼프, 바이든 두 후보의 외교안보 정책은 물론이고 개표 전개과정까지 염두에 두며 모든 경우의 수에 대비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서혜림 기자입니다.

[기자]

차기 미 행정부와 호흡을 맞춰야 할 사안은 산더미 같습니다.

우선, 정부는 미 대선 뒤 북미대화 재개에 속도를 내고 싶어 합니다.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전시작전 통제권 전환 문제, WTO 사무총장 선거 등 현안도 대선 이후 당장 한미 논의 테이블 위에 오를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외교부는 미 대선 결과에 따른 시나리오별 대응 방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난 8월에 만든 TF를 중심으로, 대비 태세를 갖췄다는 설명입니다.

특히 개표 관련 변수로 당선자 확정이 예정보다 미뤄지는 비상상황까지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국방부는 북한의 도발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대선 후 북한이 도발을 감행하면, 미국 새 행정부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재개해 보려는 정부 구상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습니다.

"한미 정보당국은 긴밀한 공조 하에 관련 동향을 면밀히 추적, 감시하고 있습니다."

통일부 역시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남북교류를 재개하는 데 있어서 한미간 호흡을 맞추는 것은 중요한 관건 중 하나입니다.

"유관기관, 국내외 다양한 전문가들과 소통하면서 대응 방안을 모색해 나가고 있습니다."

외교당국은 누가 승리하더라도, 한반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동맹 관계를 다진다는 원칙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 (hrseo@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