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냐 바이든이냐'…한반도 안보지형 변화는

  • 4년 전
'트럼프냐 바이든이냐'…한반도 안보지형 변화는

[앵커]

미국 대선이 사흘 앞으로(31일 기준) 다가오면서, 두 후보의 대(對)한반도 시각에 관심이 쏠립니다.

차기 미 대통령의 외교안보 정책에 한반도의 안보지형도 적잖은 영항을 받기 때문인데요.

각 후보의 관점과 이에 따른 전망을 서혜림 기자가 전합니다.

[기자]

우선, 한국으로선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향배에 가장 큰 관심이 쏠립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되면 북미대화 재개를 위한 움직임이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

당장 다음 달 로버트 오브라이언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한국을 찾을 예정이고, 강경화 외교부 장관도 미국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만나기로 했습니다.

"우리는 다른 종류의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아주 좋은 관계죠. 그리고 전쟁도 없습니다."

바이든 후보가 당선되면 실무협상부터 쌓아올리는 방식으로 접근할 가능성이 큽니다.

바이든 후보는 김 위원장과 만남 가능성을 열어두면서도 핵능력 축소를 조건으로 내걸고 있습니다.

"핵능력 축소에 동의하는 조건으로…. 한반도는 핵 없는 곳이 돼야 합니다.

시각과 해법에서 차이가 있지만 누가 당선되든 큰 틀에서 북미가 간극을 쉽사리 좁히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양측 모두 북한 비핵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북한이 어느 정도까지 의지와 성의를 보이느냐가 여전히 관건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동맹에 대한 접근법도 두 후보 간에 적잖은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출범한다면 '미국 우선주의'를 기치로 내건 '거래주의'가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입니다.

따라서 방위비 분담 압박은 더욱 커질 수 있습니다.

반면 바이든 후보는 동맹 가치의 복원에 방점을 둡니다.

따라서 주한미군 이슈는 상대적으로 안정화할 수 있습니다.

다만 방위비에 대해선 일정 수준의 인상은 요구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미중 패권 경쟁이 갈수록 심화함에 따라 누가 대통령이 되든 '중국 견제'를 목표로 한국을 더 압박할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TV 서혜림입니다. (hrseo@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