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감사 이틀째…상임위 곳곳 대북 현안 격돌

  • 4년 전
국정감사 이틀째…상임위 곳곳 대북 현안 격돌

[앵커]

이틀째 진행 중인 21대 국회 국정감사입니다.

오늘 12개 상임위원회에서 국감이 진행됐는데요.

어제에 이어 대북 현안을 둘러싼 여야의 공방이 가열됐습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알아봅니다.

장윤희 기자, 현재 상황 어떻습니까?

[기자]

현재도 이틀째 국감이 한창인데요, 오늘 북한군에 피격된 해양수산부 소속 공무원 사건에 초점됐습니다.

문성혁 해양수산부 장관과 김홍희 해양경찰청장이 국감에 직접 출석해 이목이 집중됐는데요.

여야 할 것 없이 소속 공무원 피격에 대한 부처 대응, 해양경찰이 해당 공무원을 월북으로 판단한 근거에 대한 질의가 쏟아졌습니다.

국민의힘은 숨진 공무원의 유가족을 증인으로 채택하고, 상임위 차원의 현장방문 조사가 필요하다는 요구도 했습니다.

민주당은 정부·여당을 겨냥한 정쟁에 지나지 않는다며 맞섰습니다.

김홍희 해경청장은 실종 공무원 휴대전화가 인위적으로 꺼진 점을 월북 정황 증거 중 하나로 들었습니다.

국방위 국감에서 원인철 합참의장은 북한군 감청에 '시신'을 의미하는 단어는 없었지만, '월북' 의미의 단어는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외교통일위원회 국감에서도 여야는 대북 현안으로 격돌했다면서요?

[기자]

그렇습니다.

외교통일위원회에서는 국민의힘은 여당이 북한 조성길 대리대사 입국 이슈로 국면 전환을 시도한다고 문제제기를 했고, 여당은 "어이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오는 10일 북한이 노동당 창건 75주년을 맞아 저강도로 위력을 과시할 것으로 내다보기도 했습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 종전선언을 강조한 것을 두고도 여야 간 공방이 빚어졌습니다.

외통위에서 야당 의원들은 공무원 피격 사건 규명이 끝나지 않은 상황에서 부적절한 발언이라 비판했는데요.

민주당은 허영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지금과 같이 엄중한 시기일수록 종전선언 추진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고 입장을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연합뉴스TV 장윤희입니다. (ego@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