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불문에 불특정 다수' 확산…거리두기 2단계로 충분?

  • 4년 전
◀ 앵커 ▶

코로나19의 무서운 확산세에 수도권엔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가 내려졌는데요.

워낙 특정 교회 신규 확진자가 많아서 지금이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체감하지 못하는 분들도 있을 것 같습니다.

사회정책팀 전동혁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이번 수도권의 확산세가 지난 신천지 관련 감염, 이태원 클럽 발 때보다 위험하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이유가 뭔가요?

◀ 기자 ▶

네, 최근 교회 5곳에서만 2백80여 명이 무더기로 확진되면서 수도권 집단감염의 포커스가 교회에만 맞춰지고 있는데요.

실상을 들여다보면 양평군 마을 모임이나 파주시 스타벅스, 용인시 죽전고, 대지고와 관련 학원 등 집단감염 사례가 상당히 많고 다양합니다.

방역 당국이 예측할 수 없을 정도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거죠.

게다가 카페나 식당 같은 곳은 불특정 다수가 일상적으로 방문하는 곳이기 때문에 개인이 스스로 방역 조치를 지키지 않으면 금방 감염이 확산될 수 있는 곳입니다.

이렇다 보니 수도권의 감염 재생산지수도 최근 들어 1.5로 올랐습니다.

즉 2명이 감염되면 3명이 추가로 감염되는 셈이라 방역 당국이 확진 환자를 찾아내고 접촉자를 격리하는 일련의 활동이 확산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앵커 ▶

그렇게 심각하다면 과연 2단계 거리두기로 충분한가… 3단계 가야 하는 것 아니냔 지적이 나오는 것도 이해가 되는데요.

◀ 기자 ▶

네, 이번 수도권의 거리두기 2단계 상향 조치에 대해서도 사실상 1.5단계 조치 아니냐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많습니다.

## 광고 ##지난달 단계별 거리두기 기준과 조치사항을 발표했을 때는, 공공 다중시설은 운영을 중단하고, 민간 다중시설도 고위험 시설은 운영을 중단하고 방역수칙 준수를 강제화한다고 했었는데요.

현재 서울과 경기에 내려진 조치를 보면, 공공시설은 평상시의 50%로 이용객 수를 제한하고, 민간 고위험시설도 기존의 집합제한을 유지하는 수준에서 그친 상태입니다.

상황이 악화되면 운영 중단이란 단서를 달기는 했지만, 갑작스런 충격에 대비한다는 이유로 방역 당국이 조치를 약하게 내린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

특히 식당이나 카페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며 사람들의 방역 의식이 점점 약해지고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기 때문에, 방역 당국이 2, 3일 정도 확산세를 더 지켜본 다음 추가 조치가 나올 수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실제 2단계 조치에 들어가게 되면 이번에 추가 지정된 PC방이나 클럽 같은 고위험 시설은 운영이 중단되고요.

만약 거리두기가 3단계로 격상되면, 무관중 경기로 전환된 스포츠 경기도 전부 중단되고, 서울, 경기 주민의 타 시도 이동 제한도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 앵커 ▶

이번 상황에 정부가 내놓은 외식쿠폰이라든지 경제활성화 대책들은 어떻게 되나요?

◀ 기자 ▶

네, 조금 전 중대본 브리핑에서 정리가 됐습니다.

문체부가 지난 14일 배포했던 숙박, 여행, 공연 등 6대 소비 할인권 시기가 조정이 됩니다.

기배포된 할인권은 사용을 허용하지만 방역 관리를 철저히 해야 하고요.

사용기간이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농식품부 주관의 외식 활성화 캠페인도 잠정 중단됩니다.

오늘 0시 이전까지의 외식 실적은 다시 재개되면 누락 없이 인정되지만, 오늘 이후 실적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모두 코로나19 확산세를 조금이라도 늦춰보려는 목적이기 때문에, 불편하더라도 수도권 주민 분들은 당분간 불필요한 모임을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등 동참해 달라고 방역 당국이 부탁했습니다.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