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도 힘들지만"…홍수 피해 돕기 확산

  • 4년 전
◀ 앵커 ▶

손이 몇 개라도 부족한 상황입니다.

자원봉사가 큰 힘이 되고 있는데요.

전남 구례와 곡성등 섬진강 주변 지역들도 이번 폭우로 주택이 침수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는데요.

인근 도시 주민들이 팔을 걷고 나섰습니다.

조희원 기자입니다.

◀ 리포트 ▶

집마다 산더미 같이 쌓인 쓰레기들.

폭우가 휩쓸고간 섬진강변 마을 주민들은 삽시간에 물이 지붕까지 차오르던 광경을 떠올리면 지금도 몸서리가 쳐집니다.

[박육순/주민]
"아이고, 말도 마시오, 말도 마. 사람이 살아나온 것만 해도 다행이지. 막 발을 뻗고 울고 그랬어."

야속하게 쏟아지던 비는 다행히 그쳤지만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엄두도 나지 않는 상황.

절망하는 이재민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민건 이웃 동네 주민들입니다.

순천과 광양 등 전남 각지에서 온 봉사단 250여 명이 이재민을 돕기위해 자발적으로 수해 현장을 찾은 겁니다.

[주우성/순천 청공해 청년봉사단]
"구례가 바로 옆 지역이거든요. 뉴스나 이런 데서 봐서 피해의 심각성을 알고, 청년들끼리 자발적으로 오게 됐습니다."

수해로 엉망이 된 집안을 정리해주고, 골칫거리가 된 젖은 옷 빨래에도 나섰습니다.

당장 밥을 해먹기도 힘든 이재민들을 위해 밥차까지 대절했습니다.

## 광고 ##막막한 심정뿐이었던 주민들은 이웃 동네 주민들의 따뜻한 마음에 힘을 내고 있습니다.

[윤형철/주민]
"오늘 처음으로 봉사자가 나와서 도와주니까 고맙네요. 안 그래도 인력 부족, 사람도 모자랐는데 이렇게 오시니까 너무 고맙죠."

[허강숙/전라남도 자원봉사센터장]
"전기 수리라든지, 하우스라든지 농경지 복구, 도배·장판 이런 게 또 필요하거든요. 그런 분야의 재능 기부를 해주실 자원봉사자분들의 많은 필요가 절실히 요구됩니다."

하지만 사실상 남도 전지역이 수해 피해지역인 상황.

피해복구가 필요한 다른 지역에서는 부족한 일손을 거들 자원 봉사자들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MBC뉴스 조희원입니다.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