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열어보기] 국제금값 2000달러 돌파…어디까지 오르나

  • 4년 전
◀ 앵커 ▶

간밤에 새로 들어온 소식, 또 사람들의 관심을 끈 뉴스를 전해드리는 '뉴스 열어보기' 시간입니다.

◀ 앵커 ▶

먼저, 뉴시스입니다.

국제금값이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2000달러를 돌파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어제 오전, 우리나라 금 가격도 8만 300원까지 치솟았다는데요.

지난 4일, 미국 뉴욕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된 12월 인도분 금값은 전날보다 1.7퍼센트 오른 2021달러였습니다.

국제 금값이 온스 당 2000달러를 넘기는 건 이번이 처음인데, 올해 들어서만 32퍼센트가 올랐다고 하는데요.

코로나19로 경제가 불확실해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금에 몰리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증권가는 앞으로도 이런 흐름이 계속될 거라고 전망하면서, 하반기 금값은 3000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 앵커 ▶

다음은 경향신문입니다.

재건축단지 '50층 허용' 방안에 대한 정부와 서울시의 입장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50층 허용' 방안에 대한 서울시의 입장은 고밀재건축을 추진하더라도 층수 제한을 풀지 않겠다는 건데요.

2013년 이후로는 단 한 번도 35층을 초과하는 재건축 안을 허가한 적이 없고, 공공재건축을 하더라도 강남 재건축 핵심 지역만 층수 제한을 풀어주는 건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겁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장의 권한대행을 맡고 있는 서정협 행정1부시장에게 '35층 제한'을 완화할 명분이나 권한이 있냐는 의문도 나오고 있는데요.

행정안전부에서는 '중요한 의사결정은 권한대행자의 통상적인 업무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될 소지가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서울시 관계자는 "재건축 문제는 행정2부시장에게 일임해왔고, 서울시에는 기존 도시계획 방향을 바꿔야 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는데요.

재건축단지를 둘러싼 진통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와 서울시는 다음 주 중에 구체적인 공공재건축 방향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 앵커 ▶

다음은 한겨레입니다.

'강제동원 대법원 판결 이행'을 둘러싼 한·일 갈등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의 마지노선인 '대법원 판결 이행'과 일본 정부의 '65년 체제 유지'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인데요.

대법원 판결이 나온 뒤에, 문제 해결을 위한 '구체적 해법'이 제시된 적도 있었습니다.

첫 번째 헤법은 "한국과 일본, 양국 기업이 자발적으로 재원을 조성해서 피해자들에게 위자료를 지급하자"는 내용이었지만 일본은 타협안을 거부하고, 수출규제를 강화하는 보복을 가했습니다.

두 번째 해법은 기업·화해·미래재단에 기금을 설치해서 한국과 일본의 양국 기업과 개인이 기부금으로 재원을 조성하자는 내용이었는데요.

일본 기업의 자벌적 참여라는 내용 때문에 "대법원 판결을 이행했다고 할 수 없다"는 우려가 쏟아지면서 결국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대치가 길어지면서 지난해 7월과 같은 '2차 출동'이 예상되는 가운데, 일본에서도 그만 타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 앵커 ▶

국민일보 살펴봅니다.

우리나라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영장류 실험을 통해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호흡기뿐만 아니라 혈관에도 염증을 유발한다는 점을 밝혀냈습니다.

또, 2일간은 바이러스가 빠르게 퍼지면서 면역력을 떨어뜨리고, 7일이 지나면 바이러스 활동이 사라진다는 사실도 찾아냈다는데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이 함께한 이번 연구는 필리핀원숭이 체내에 코로나19 바이러스를 투입하고, 임상 증상 변화를 연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는데요.

연구진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혈관 염증을 유발하고, 감염된 지 3일이 지난 후에도 혈관에 염증이 유지되는 현상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국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탄력이 붙을 것"이라면서 "신속하게 임상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 앵커 ▶

다음은 동아경제입니다.

최근 은행가는 '5만 원권 품귀 현상'을 겪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5만 원권 환수율은 16.4퍼센트에 그쳤는데요.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4분의 1 수준에도 못 미치는 수치입니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유사시를 대비해서 현금을 갖고 있으려는 '현금 보유 수요'가 늘어난 데다가,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