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호소인'에 2차 가해논란까지…남은 과제는

  • 4년 전
'피해호소인'에 2차 가해논란까지…남은 과제는
[뉴스리뷰]

[앵커]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사망한 지 2주가 지났지만 어떤 계기가 박 시장을 극단적인 선택으로까지 몰고 갔는지는 여전히 베일에 싸여있습니다.

박 시장 사망 직후 성추행 피소 사실이 드러났지만, 이를 놓고서도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빚어졌는데요.

김민혜 기자가 정리해봤습니다.

[기자]

"피해 호소인께서 겪으시는 고통에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리며…"

"서울시는 여성단체 기자회견을 통해 피해를 호소한 직원의 고통과 아픔에 공감하며…"

박원순 전 시장 사망 이후 무엇보다 뜨거운 이슈는 '피해호소인'이라는 표현이 적절한가였습니다.

서울시의 경우 공식적으로 피해가 접수되지 않았다는 이유를 댔지만, 피해 호소라는 표현에 불신이 깔려있다는 지적까지 나오면서 정치권에서까지 갑론을박이 벌어졌습니다.

그 자체가 2차 가해일 수도 있다는 비난 속에 결국 피해자로 명칭은 정리됐지만, 갈등을 봉합하는 과정에서 미투를 바라보는 시선의 차이도 드러났습니다.

여성단체 등을 중심으로 한 피해자 지원과 연대의 움직임은 박 전 시장의 성추행 의혹을 폭로하는 기자회견 등으로 이어졌지만, 또 다른 한쪽에서는 피해자 측 기자회견을 보며 분노를 넘어 살의마저 느껴진다, 비서가 어떻게 비밀번호를 알고 있었느냐는 등의 발언으로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논란을 더욱 증폭시켰습니다.

박 전 시장의 사망 경위와, 성추행 의혹을 밝히기 위한 움직임은 본격화되고 있지만 당사자 한쪽이 세상을 떠난 이상 진실 규명에는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도 존재하는 게 현실.

더욱 첨예해진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치유하는 것이 의혹 해소 못지않게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makereal@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