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코로나19 확진자 100명 늘어 …34명 검역 과정서 확진

  • 4년 전
[뉴스특보] 코로나19 확진자 100명 늘어 …34명 검역 과정서 확진


어제 하루 백명의 추가 확진자가 나왔는데 이 중 34명이 검역 절차에서 발견된 해외 유입 사례였습니다.

이제 방역의 중심을 해외 입국자에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김경우 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살펴보겠습니다.

오늘 오전에 발표된 코로나19 집계 상황 먼저 살펴보죠. 가장 눈에 띄는 것이 해외 입국자 확진자 수인데요?

대구 지역의 경우 요양병원 전수조사가 마무리되면서 일별 환자 발생 규모가 줄어들고 있는 상황인데요. 아직 안심을 이르겠지만 우선 한숨은 돌렸다고 볼 수 있을까요?

유럽발 입국자 전원을 별도 수용시설에 격리한 뒤 전수 진단검사를 진행 하던 정부가 방침을 선회했습니다. 무증상 내국인은 집에서 자가격리를 하되, 3일 안에 검사를 받도록 했는데요. 효율적인 방법이라 보시나요?

세계 보건기구, WHO가 미국이 코로나19의 새로운 진원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미국발 입국자에 대한 우려가 나오는데요. 현재 유럽발 입국자 관리도 힘든 상황처럼 보이는데, 미국발 입국자 관리까지 가능할까요?

어젯밤(24일) 한미 정상 간 통화가 이뤄졌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의료 장비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여기서 의료장비라 함은 진단 도구를 말하는 거라고 봐야겠죠?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면서 한국의 대응의 관심을 받고 있는데요. 어떤 점이 달랐는지 몇 가지 짚어주신다면요?

해외에선 한국의 대응 방식을 따라야 한다는 얘기도 나오는데 지금 상황에서는 늦었다고 봐야겠죠?

내일(26일) G20 특별화상정상회의가 개최됩니다. 각국 정상들이 코로나19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머리를 맞댈 예정인데요. 어떤 메시지가 꼭 나와야 한다고 생각하세요?

국내 상황도 살펴보겠습니다. 대구지역에서 처음으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던 31번 환자가 한 달 넘게 병원에서 입원 중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평균보다 치료 기간이 길어지는 이유가 뭘까요?

대구에서 50대 신천지 교육생이 숨졌습니다. 격리해제 6일 후 확진 판정을 받고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번 사례는 어떻게 보시는지요?

가을에 다시 코로나19 확진자가 늘어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데요. 시간이 지나면서 바이러스가 변이될 수도 있다고 하던데, 더 강해질 수도 있는 건가요?

지금까지 김경우 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함께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