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밤새 확진자 376명 추가…총 3,526명

  • 4년 전
[뉴스특보] 밤새 확진자 376명 추가…총 3,526명


코로나19로 국내 확진자가 밤새 376명이 추가 됐습니다.

총 3천5백 명을 넘었는데요.

신천지 신도들에 대한 전수조사가 속도를 내면서 감염자 수는 더 늘 것으로 보입니다.

신현영 명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와 관련 내용 살펴봅니다.

어서오세요.

밤새 환자가 또 늘어 누적 확진자 수는 3,526명이 됐습니다. 31번째 환자가 나온 이후 100배 이상 증가한 겁니다. 중국보다도 하루 확진자가 많이 나오고 있는데요. 증가세의 경향이 앞으로 며칠정도 계속되리라 보십니까?

확진자가 3천명 이상인 대구·경북에서는 병상도 부족하고 의료진들도 턱없이 부족합니다. 앞서 얘기한 것처럼 의료지원을 받지 못해 사망하는 환자도 나오고 있는데,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나요?

확진자가 이렇게 계속 증가될 경우, 우한 교민들 입국시 시설 격리했었는데, 그런 방안을 마련하는게 어떻냐는 의견이 있는데요?

대구.경북 지역을 방문한 사람은 검사를 받아보라느 요청을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합니다. 이런 경우 검사 대상이 되나요?

밤사이 늘어난 확진자 수는 대구지역에 집중됐습니다. 신천지 교인을 전수조사 영향으로 보이는데요. 증상 발현 여부에 상관없이 일반인보다 확진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신천지 신도의 전염 위험도가 높은 이유가 뭔가요?

노래방이나 클럽 등 폐쇄된 장소가 정말 위험해 보이는데요?

대구에서는 확진자가 병실이 없어서 대기중 이신 분들이 많다고 합니다. 나이대별 기저질환 유무에 따라 중증도가 달라질 수 있나요?

자가격리 기간이 14일입니다. 하지만 14일 이후 증상이 나타나는 분들도 있는데요. 14일이면 충분한지, 자가격리 중에 발열 등 증세가 심각해질 경우 입원이나 검사가 이루어지는 절차가 준비되어 있나요?

다른나라보다 우리나라의 하루 검사 횟수가 굉장히 많은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검사 횟수가 차이 나는 이유가 있나요?

현재 치료제 개발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경기도는 요양시설과 장애인 거주시설에 대해 예방적 코호트 격리하기로 했습니다. 서울과 부산, 경북 등 의료시설에서 잇따라 집단 감염 사례가 나왔기 때문인데요. 코호트 격리되면 외부 감염원은 완전 차단할 수 있나요?

반대로 의료계에서는 격리 병상이 부족한 만큼, 병실 순환율을 높이기 위해 퇴원 기준을 완화시키고 경증 환자는 자택 격리를 유도해야 한다는 제안도 나오는데요. 방역에 사각지대가 생길 수 있는 위험은 없을까요?

최근 25번째 환자가 퇴원 후 재감염 된 사례가 나오자 일각에서는 두 차례 음성판정이라는 퇴원 기준을 더 강화하거나 퇴원 후 자가 격리 의무화 등 사후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한다는 목소리 나옵니다. 이 부분 어떻게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